우리나라의 시민사회가 언제부터 발생했으며 어떤 과정을 거치며 발전해 왔는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최초 등록일
- 2021.05.28
- 최종 저작일
- 2020.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우리나라의 시민사회가 언제부터 발생했으며 어떤 과정을 거치며 발전해 왔는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시민사회의 발생
2. 우리나라의 시민사회 발전 과정
3. 우리나라 시민사회운동이 나갈 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수십 년 동안 서구사회에서 이루어진 경제성장과 문화적 정체성의 강화, 참여욕구의 폭발과 세계화의 확산 등은 사회적, 경제적 토대에 기초한 시민사회와 함께 성장해왔다. 시민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영국의 기든스, 프랑스의 알렌투렌, 독일의 하버마스 등 서구사회의 많은 사회학자들이 시민사회를 연구하게 되었고, 시민사회는 사회과학의 핵심용어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사회학을 비롯하여 정책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행정학 등 각종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시민사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서구사회에서 처음 일어난 시민사회의 성장과 연구는 비서구사회로 전파되었고, 한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우리나라는 1987년 6월 항쟁이후에 민주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시민사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하였고,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를 비롯한 많은 결사체들이 시민사회에서 결성되었으며, 시민들의 지지와 참여가 이어졌다. 1989년에 설립되어 여론형성과 정책생산을 주도했던 경실련(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활동이 가장 대표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 이후로, 수많은 시민사회단체들이 만들어지면서 권력을 감시하고, 어려움에 처한 이웃을 돕고, 좀 더 나은 사회에 관해 이야기 하면서 많은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열심히 자기 일에 충실히 일하면서 사는 시민들이 불의에 저항하기 위해 촛불시위로 모이고, 때로는 ‘태안 기름유출 사건’이나 ‘세월호의 침몰사건’을 수습하기 위한 자원봉사활동으로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이념적으로 갈린 깊은 분열을 경험해 왔으며, 그간 쌓아왔던 시민사회의 공공성을 무너뜨릴 것 같은 집단 이기주의를 목격하기도 했다. 이 장을 통해 우리나라의 시민사회가 언제부터 발생했으며 어떤 과정을 거치며 발전해 왔는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우리나라 시민사회의 발생
시민사회는 역사적으로 매우 오래된 용어인데, 정치의 주체가 시민이 중심이 되는 사회를 말한다.
참고 자료
백영경 외, 인간과 사회, 방송대 출판문화원, 2014.
조철민, 2017년 시민사회의 과제와 전망, 한국 민주주의 연구소, 2017.2.10.
박상필, 한국 시민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역할, 2015.
이동수, 김태영, 송경재, 이영안, 한국 시민사회의 과제와 발전을 위한 청사진 연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