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백만장자 수집가의 탄생
Ⅲ. 전형필의 수집활동
Ⅳ. 민족의 혼과 얼이 담긴 훈민정음
Ⅴ. 그 외 활동
Ⅶ.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전형필은 1906년 07월 29일 대한제국 한성부(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정3품 전계훈의 손자로 참서관을 지낸 대부호 전명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증조 때부터 배우개(현 종로4가) 중심의 종로 일대의 상권을 장악한 10만 석 부호가의 집안이었으며 실로 막대한 재산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전형필의 집은 99칸으로 100칸부터는 왕가의 영역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민간에서는 최고의 부자 집안 중 하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게 손 귀한 부잣집에서 태어난 전형필은 작은 아버지에게 입양되어 어른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으며 자랐다. 그러나 한 집에서 양부모, 양조부모까지 살았기 때문에 양육은 그대로 친부모가 맡았다고 한다. 그렇게 집에서 한학을 공부하던 전형필은 12살이 되던 해 어의동 보통학교(현 효제 초등학교)에 입학을 하게 된다. 한학과 신학문을 공부하며 어린 전형필은 세상에 대한 견문을 키워나간다. 시간이 지나 1921년 어의동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전형필은 휘문 고등보통학교로 진학하게 된다. 휘문 고등보통학교에서 전형필은 글공부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게 된다. 야구에도 능했던 전형필은 휘문 고등보통학교에서 4학년 때 야구부 주장을 맡아 일본 원정에서 오사카 중학을 대파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 당시 축구 부장이었던 박정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초대 감독), 미술 부장 이마동(훗날 홍익대학교 미술 대학장 역임)과 함께 친하게 어울려 삼총사라고 불렸다고도 전해진다. 이 시절부터 전형필은 도서 수집을 취미로 가지고 있었다. 그의 수필 수서만록에서 당시 도서 수집에 대한 흥미와 열정을 엿볼 수 있다.휘문 고등보통학교에 진학 당시 만났던 은사 춘곡 고희동 선생은 전형필의 예술적 감각을 눈 여겨 보았고 훗날 전형필의 평생의 스승 위창 오세창 선생을 만나게 되는 징검다리가 된다. 이후 1926년 전형필은 휘문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다. 휘문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전형필은 일본 유학길에 오른다.
참고자료
· 이충렬 , 『간송 전형필』 김영사, 2021
· 최석조. 『조선의 백만장자 간송 전형필, 문화로 나라를 지키다!』 사계절. 2018
· 김민규. 『간송미술관에는 어떤 보물이 있을까? 』 토토북 2019
· 기타 출처
· 유튜브 KBS 역사저널 그 날 국보를 되찾다, 문화유산지킴이 간송 전형필
· https://www.youtube.com/watch?v=Mg7okMiMrUQ
· 위키 백과, 전형필
·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D%98%95%ED%95%84
· 나무위키, 전형필
· https://namu.wiki/w/%EC%A0%84%ED%98%95%ED%95%84
· 간송 미술문화재단
· http://kansong.org/kansong/biography_7/
· EBS 지식채널e, 바보 같은 남자 전형필
· https://www.youtube.com/watch?v=12UABh9SXDc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