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게릭병, 근위축성측색경화증 간호과정입니다. (A+++)
- 최초 등록일
- 2021.05.21
- 최종 저작일
- 2021.03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루게릭병, 근위축성측색경화증 간호과정입니다.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3~5p.
1. 정의 3p.
2. 병태생리 3p. 3. 원인 및 발생요인 3p.
4. 증상3-4p.
5. 진단검사4p.
6. 치료 및 간호4-5p.
Ⅱ. 사례보고서6~22p.
1. 간호정보조사지 6-11p.
2. 간호과정 12-22p.
Ⅲ. 참고문헌23p.
본문내용
1. 정의
근위축성 축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은 운동 신경원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1869년 프랑스의 의사 장마르틴 샤롯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다. 이후 1939년 미국의 유명한 야구 선수인 루게릭이 이 질환을 앓게 되면서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며, 이때부터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이 질환을 앓고 있는 또 다른 유명인으로 스티븐 호킹이 있다.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환으로 대뇌 겉질의 위 운동신경세포와 뇌 줄기 및 척수의 아래 운동신경세포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특징을 보인다. 임상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사지의 위약 및 위축으로 시작하고, 병이 진행되면서 결국 호흡근 마비로 수년 내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1년에 10만 명당 약 1~2명에게서 루게릭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게릭병은 50대 후반부터 발병이 증가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1.4~2.5배 정도 더 발병률이 높다.
2. 병태생리
근위축성 축삭경화증은 진행성 퇴행성 질환으로서 하위운동신경원인 척추전각, 뇌간의 운동핵과 대뇌피질의 상위운동신경원에 영향을 미친다. 운동신경원이 죽으면 축삭퇴행, 탈수초, 신경교 분화 등이 피질척수로를 따라 나타난다. 초기 단계에는 운동신경원이 이환된 근섬유에 신경재생을 위해 새로운 가지를 형성하여 근력이 보존되지만 하위 운동신경원이 절반 이상이 이환되면 근력의 약화가 나타나며, 결국에는 호흡근의 약화와 마비로 사망한다.
근위축성 축삭경화증은 수초탈락 및 흉터조직 형성으로 상부 및 하부 운동신경원의 점진적인 퇴행을 가져온다. 이 질병은 운동신경 전달체계를 점차적으로 파괴하지만 감각기능과 정신상태는 침범하지 않는다.
3. 원인 및 발생요인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신경흥분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비정상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신경세포의 변이와 손상, 자유기(free radical)에 의한 세포손상, 과도한 세포 내 칼슘, 칼슘통로에 대한 항체형성 등을 원인으로 고려하고 있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Ⅱ.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외 공저. 수문사, 2019. p.1230~12322.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외 공저. 현문사.2017.08. p.495-4963.
도솔천노인요양원. 체위변경기록지 (http://www.dosol.or.kr/bbs/board.php?bo_table=data&wr_id=2)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제품정보, 리루텍정(리루졸)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0805962)
아산병원 홈페이지 질환백과 (www.amc.seoul.kr/asan/main.do)
한국루게릭협회 (http://www.kals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