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활동적인 노화의 개념과 활동적 노화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그리고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활동적 노화의 개념
2. 활동적 노화의 필요성
3. 활동적 노화의 구체적인 사례
1) 골프의 전설 니클라우스
2) 한식요리연구가 심영순
3) 영화배우 해리슨 포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급속하게 증가하는 노령화의 문제로 개인적, 사회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지속적으로 가중되고 있어 이에 충분히 대응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비와 노인복지와 관련된 비용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선진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노인 일자리를 화두로 다루었으며,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에 대한 개념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연금을 수급하는 연령과 퇴직 정년을 높여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들을 강화시키며, 노인의 일자리 확대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예전의 노년층이 아닌 ‘일하는 뉴실버’를 탄생시키게 된 것이다. 일본은 2012년에 고용안정법을 개정해서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올렸으며, 기초연금도 1994년부터 2013년까지 점진적으로 수급 연령을 올려서 65세까지 올려놓은 상태이다. 프랑스도 2010년에 최저 퇴직연령을 법으로 60세에서 62세로 올렸고, 2012년에는 노령연금의 수급 연령을 67세로 높이게 되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여유 있는 노년을 원했다면 지금은 고령인데도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증가할 추세이다. 이에 본론에서 활동적인 노화의 개념과 활동적 노화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그리고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활동적 노화의 개념
1990년대 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의한 활동적 노화의 정의는 “늙어가면서 삶의 질을 강화시키기 위해 건강(health), 참여(participation),그리고 안전(security)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이라는 것이었다. 사람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고령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기대도 크게 변화되기 시작했으며, 이런 사회적인 환경에서 사회와 경제, 문화 등의 다방면에서 지속적인 참여를 의미하게 된 것이다.
참고 자료
정옥분, 성인발달과 노화, 교육과학사, 2001.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성장발달과 건강, 교문사, 2014.
사회복지서비스,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이병록,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청목출판사, 2007.
OECD, Reforms for an Ageing Society, Paris: OECD, 2000.
양윤정, 노동시장참여 중심의 ‘활동적 노화’와 그 한계, 국제노동브리프, 2011.3.
임호, 오재환, 활동적 노화를 위한 정책 개선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017.
'활동적 노화' … 일본 65세, 프랑스 62세로 정년 연장, 중앙일보, 2014.2.3.
80세 생일 니클라우스 “은퇴 생각해 본 적 없다”, 국제신문, 2020.1.22.
요리 연구가, 방송인 심영순...팔팔한 팔순 예능계 도전, 농민신문, 2020.2.12.
해리슨 포드 경비행기 사고 중상, 생명에 지장은 없지만...청각에 문제있어, 파이낸셜뉴스, 2015.3.7.
해리슨 포드 “인디아나존스 5편 여름부터 촬영시작...난 지금 들떠있는 상태”, 글로벌이코노믹, 20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