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간호과정3개
1)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2) 미숙한 면역체계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미숙한 체온조절 능력과 관련된 저체온 위험성
본문내용
▶ 문헌고찰
1. 황달 문헌고찰
1-1. 정의
: 혈액 중에 빌리루빈이 지나치게 축적되는 현상, 즉 피부와 다른 기관의 색깔이 노랗게 변색되는 특징과 신생아에 흔히 나타남.
1-2. 원인, 병태생리
① 원인
● 생리적(발달적)요인(미숙) → 간미성숙
● 모유수유
● 빌리루빈의 과잉생산(ex. 용혈성 질병, 생화학적 장애, 멍)
● 포합 빌리루빈 배설시키는 간 기능 장애(ex. 효소부족, 담도폐쇄)
● 과잉생산과 분비 저하의 결합(ex. 패혈증)
● 질병 상태 (ex. 갑상샘저하증, 갈락토오스혈증, 당뇨병 산모의 아기)
● 생산 증가를 가져오는 유전적 소인(미국 원주민, 아시아인)
비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 유형
생리적 황달
● 원인 : 미성숙한 간기능과 적혈구 용혈로 인한 빌리루빈 증가 : 장간 단락(enterohepatic shunting)
● 시작시기 : 24시간 이후 (미숙아 지연)
● 최고농도 : 2~5일
● 지속시간 : 5~7일에 감소.
● 치료 :
- 수유빈도 증가, 대변 양상 사정, 경피 or 혈청 빌리루빈 측정, 빌리루빈 의미 있게 상승 하면 광선교법(하루 5mL/dL이상).
<중 략>
사정
주관적 자료
- 아기가 너무 뜨거워하지 않을까요? (by. 엄마)
객관적 자료
- 9/13 오후 8:20 난산 (39주)
- 흡입 분만 3회, 두혈종
- 황달 눈으로 관찰됨.
- V/S P 140회/분, R 44회/분 BT 36.9℃
- indirect biliruvbin 6mg/dL
- 광선요법 치료 중
간호진단
#1. 광선요법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기대결과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
- 대상자는 2일간 광선요법으로 인한 피부 발진이 나타나지 않는다.
- 대상자는 2일간 안대 적용으로 인한 눈 주위 피부 손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