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문간호사 중 응급, 노인, 감염 전문 간호사에 대한 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전문간호사 제도의 등장배경과 발전
2) 전문간호사의 정의와 역할
2. 본론
1) 응급전문간호사
가. 응급전문간호사의 역할
나. 교육과정
다. 구체적 업무
2) 노인전문간호사
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나. 교육과정
다. 구체적 업무
3)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
가. 감염관리전문간호사의 역할
나. 교육과정
다. 구체적 업무
3. 결론
1) 전문간호사의 현실
2) 활성화 방안의 필요성
3) 나의 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대학에 진학하고 전문성에 대해 배우게 되면서 좀 더 전문적인 간호사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전문간호사는 가정, 감염관리, 노인, 마취, 산업, 보건, 아동, 응급, 임상, 정신, 종양, 중환자, 호스피스 분야로 이루어져 있다. 더 전문적인 분야로 발전할 수 있는 과정이 있다는 것이 간호사라는 가까운 미래만 생각하던 나에게 또 다른 장래희망을 꿈꿀 수 있게 해주었다. 앞으로 어떤 간호사가 되고 싶은지에 대한 고민과 궁금증을 가지고 있던 중, 간호학개론의 ‘전문간호사 조사하기’ 과제를 통해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1) 전문간호사 제도의 등장배경과 발전
한국의 전문간호사는 의료의 사각지대에 있는 국민들에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평등한 건강권을 구현하기 위한 정부정책으로 등장하였다. 보건의료분야의 전문화 추세와 간호의 전문적 성장에 대한 요구, 비용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 보건의료자원의 효과적 배분, 의료비 절감효과, 전공의 부족에 대한 해결 등을 위해 의료기관이 자체적으로 상급실무를 수행하는 간호사 제도를 운영하는 등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논의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련 법안이 개정되고 법률적 기초가 세워지게 되었다.
우리나라 전문간호사 제도는 1973년 마취, 보건, 정신보건 영역의 분야별 간호사로 출발하였으며, 89년에 정부의 시범사업으로 가정간호사 제도가 만들어졌다. 2000년 의료법에서 4개의 ‘분야별 간호사’의 명칭이 ‘전문간호사’로 개정되었다. 그리고 2003년에 ‘전문간호사과정 등에 대한 고시’가 제정되면서 10개 분야의 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명시하며 본격적인 전문간호사 제도가 시작되었다. 이 때 응급, 산업, 노인, 호스피스, 중환자,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6개 분야가 신설되었다. 이후 2006년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 제정으로 인해 기존 10개였던 전문간호사 분야에서 임상, 아동 분야가 추가되고 중환자분야에서 종양 분야가 분리되며 현재 총 13가지 전문간호사 영역으로 확정되었다.
참고 자료
김미정 외 2명(2014), 한국 전문간호사의 업무성과, 한국성인간호학회, 성인간호학회지, Vol.26 No.6.
설미이 외 5명(2017), 한국 전문 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서울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간호학의 지평, Vol.14 No.1.
안숙희 외 8명(2015), 국내 응급전문간호사의 업무 수행빈도, 중요성, 자율성 및 지각된 수행능력, 중환자간호학회지, Vol.8 No.1.
이경자 외 13명(2004),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노인간호학회지, Vol.6 No.1.
이미진(2005), 지역사회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 역할기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향, 박영임(2015), 감염관리간호사의 소진과 잔류의도 경로모형, 병원간호사회, Vol.21 No.1.
이현심 (2004), 응급전문간호사의 직무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경춘(2005), 노인 전문 간호사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노인간호학회지, Vol.7 No.2.
전봉하, 응급실 근무 여부에 따른 응급전문간호사의 역할기대,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혜영(2020), 한국의 감염관리 간호역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