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건강사정은 이상징후에 관련되어서만 기재하였습니다.
간호과정은 2개이며 각각.
#1에 대한 간호 중재 교육적, 치료적, 진단적 중재
#2에 대한 간호 중재는 교육적 중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호수행은 실제로 수행하지 못하여 간호중재와 동일하게 작성되어 있으며 간호평가는 임의로 작성되었습니다.
1. 태반(placenta)
(1) 구조
태반은 착상시부터 형태가 시작된다. 합포체 영양막(모체측), 세포체 영양막(태아층), 태반분엽의 3개의 층으로 되어 있으며 모체와 태아의 혈액이 섞이지 않도록 융모간강을 형성한다. 태반은 임신 12주 이후에 완성되며 임신 20주에는 자궁표면의 반 정도를 덮을 정도로 지속적으로 커지며 두껍게 성장한다.
(2) 기능
① 내분비 기능 : 호르몬생산
-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CG) : 수정 후 8~10일부터 분미. 임신 60~70일경에 최고치 이며 그 이후 점점 떨어져 산후 1주일에 사라짐
- 에스트로겐 : 수정 7주부터 분비되어 임시 말기까지 지속. Estriol(E3)는 태반 기능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임신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 프로게스테론 : 태반 완성 전에는 황체에서 분비되나 13주 이후부터부터 태반에서 생성 됨. 유방의 포상조직 발달과 모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 태반락토겐 : 태반의 막을 통과하여 당의 이동을 쉽게 해주며 수유준비를 위해 유발발달을 촉진시킨다.
② 대사기능
- 호흡, 영양, 배설, 저장의 대사기능을 함.
- 물질이동 기전 : 단순확산(산소, 이산화탄소 등), 촉진확산(포도당), 능동적 수송(고분자 물질), 흡수작용(알부민, 항체)
③ 면역기능
- 모체혈액의 감마글로블린은 태반의 흡수작용으로 통해 태아에게 초기 수동면역 제공
2. 전치태반(placenta previa)
(1) 정의 : 정상태반은 90% 정도가 자궁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태반이 자궁하부에 부착되어 자궁경부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이다.
(2) 원인 : 다산부, 다태아, 35세 이상의 고령부, 이전 전치태반 병력, 터울이 짧은 임신(3년 이내), 당뇨, 고혈압, 흡연 등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