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rine formation and wastes elimination
1) 사구체 여과 장벽
2) 신세관에서의 흡수과 분비
3) 문제에 대한 답
2.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1) 신장에서의 수분 이동
2) 전해질의 이동
3. Blood volume and BP regulation
1) 체액량감소(Hypovolemic disorder)
2) 체액량증가(Hypervolemic disorder)
3) 문제에 대한 답
4. Acids-bases balance
1) proximal tubule 에서 bicarbonate의 재흡수
2) Collecting duct 에서의 H⁺ secretion
3) 알칼리(HCO₃⁻) 배설
4) 문제에 대한 답
5. Endocrine function
1) Vitamine D
2) Erythropoietin
3) Insulin
4) Prostaglandins
6. 요로전환술의 종류
7. 요로전환술 수술전후 간호
1)수술 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1. Urine formation and wastes elimination
1) 사구체 여과 장벽
요의 생성은 사구체 여과 장벽에서 시작된다. 사구체 여과장치를 통해 여과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분자의 크기이다. 수분이나 녹아 있는 작은 용질들은 자유롭게 투과시키지만 모든 혈액 세포들이나 대부분의 단백질과 큰 분자들은 보존한다.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eration rate, GFR)은 순 여과압, 정수압에의한 투과도, 여과면적의 곱이라 할 수 있다.
2) 신세관에서의 흡수과 분비
사구체 여과액은 최종 요가 되기 전에 일련의 변화과정을 거친다. 이 변화는 용질과 수분의 제거 혹은 흡수, 그리고 추가 혹은 분비로 구성된다. 흡수와 분비는 운반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지 기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1) 흡수
흡수는 용질이나 수분이 세관 내강으로부터 혈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신장에서 Na⁺, Cl⁻, H₂O, HCO₃⁻, 포도당, 아미노산, 단백질, 인산염, Ca²⁺, Mg²⁺, 요소, 요산 등 주로 우리 몸에 필요한 기타 물질들을 조절하는 주된 과정이다.
(2) 분비
분비는 용질이 혈액이나 세포 내에서 세관 내강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신장에서 H⁺, K⁺, NH₄⁺와 여러가지 유기 산 및 염기 등 주로 몸에서 생성된 노폐물을 조절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3) 문제에 대한 답
MDRD GFR: 90 mL/min/1.73 m2 in a 22 year old non African American female.
출처: http://www.kidney.org/professionals/kdoqi/gfr_calculator.cfm
2.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1) 신장에서의 수분 이동
(1) 신장의 수분 배설 조절
일반적으로 총수분 섭취량은 총수분 배설량과 같다. 장은 정상 생리적 혈장 삽투압(275~290 mOsm/kg.H₂O)을 유지하기 위해서 요농축력의 변화에 따른 요량의 변화를 조절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