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의 올바른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방안
- 최초 등록일
- 2021.05.09
- 최종 저작일
- 2019.08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청소년기의 올바른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방안"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1. 자아정체감 정의
2. 마르샤의 자아정체감 유형
3.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청소년기의 올바른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방안
5. 출처
본문내용
자신의 독특성에 대한 비교적 안정된 느낌을 갖는 것으로 행동, 사고, 정서가 변화해도 바뀌지 않는 것이 무엇이며, 자신이 누구인지 아는 것을 말한다.
자아정체감을 지닌 사람은 개별성, 통합성, 지속성을 경험한다. 개별성은 가치, 동기, 관심을 타인과 공유해도 나는 타인과 구별되는 고유한 존재임을 아는 것이다. 통합성은 자신의 욕구, 태도, 동기, 행동양식이 전체적으로 통합된 것이다. 지속성은 과거, 현재, 미래로 시간이 흘러도 나는 동일한 사람임을 아는 것이다.
E. Erikson은 자아정체감을 심리·사회적 정체감(psycho-social identity)과 개별적 정체감(individual identity)으로 구별했다. 여기서 심리·사회적 정체감이란 개인이 속하고 있는 집단에 대한 귀속감이나 일체감을 의미하는 정체감의 객관적인 측면이다. 즉 이것은“나는 한국 사람이다”하는 민족적 주체의식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나는 ○○대학의 학생이다”하는 소속감으로 표출되기도 하는 집단적 정체의식이다.
이에 비해 개별적 정체감이란 이러한 집단적 정체의식 속에서도, “나는 남들과는 다른 고유한 존재이다”라고 의식하는 정체감의 주관적 측면이다(서봉연, 1988a). 우리는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내 자신이 동일한 존재라는 자기 동질성(selfsameness)과자기 연속성(self-continuity)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기의식을 개인적 정체감(personal identity)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우리에게 안정감의 근원이 된다. 그러나 우리가 어린 시절을 보내고 사춘기 청소년이 되고, 그리고 입시지옥을 뚫고 대학생이 되는 과정에서“어린 시절의 나”에 대한 자기의식을 모두 유지하기는 어렵다. 이처럼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우리는 새롭게 다가오는 외적 자극들, 도덕적 가치들, 내면의 충동과 욕구들을 수용하여“나는 누구인지?”에 대한 인식을 재조정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
참고 자료
오은화, 청소년이 지각한 또래애착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2018, 105-123p
김정남,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