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평가예시(도축업관련)
- 최초 등록일
- 2021.05.01
- 최종 저작일
- 2020.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위험성평가예시(도축업관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도축업(돼지) 시스템 위험성 평가
1.1 도축업(돼지) 시스템 개요1.2 기존 산업안전시스템 문제점 및 한계점
1.3 분석대상의 위험성 평가 동기 및 필요성
1.4 분석의 목표
2. 산업안전시스템 프로세스 설계
2.1 프로세스 Layout 설계
2.2 각 프로세스의 기능 및 역할 선정
2.3 프로세스 시각화
3. 프로세스의 위험요인 발견 및 도출
3.1 각 프로세스의 위험요인 발견
3.2 위험요인의 원인 제시
3.3 원인의 유형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도축업(돼지) 시스템 위험성 평가
1.1 도축업(돼지) 시스템 개요
국내 축산물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소와 돼지, 닭 등 가축의 도축 물량도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전국의 도축장은 충북 22개, 경기 21개, 전북 19개 등 모두 149개가 운영 중이다. 도축업은 계류, 도살, 방혈, 탕박탈모, 절단절개적출, 발끝 가공, 계량 포장, 출하보관 등의 공정을 거친다. 그 과정 속에서 근로자들은 반복된 작업, 무리한 힘의 사용, 부자연스러운 자세 등으로 근골격계 위험 부담이 되며 요통, 수근관 증후군, 건염 등의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위생적인 부분에서는 현재 식품위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총체적인 시스템 도입으로 각 도축장에서는 최근에 약 10억 원 내외의 시설투자가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업체별로 약품 및 폐수처리비용 등의 증가로 생산비(도축비용)가 증가하고 있다.
1.2 기존 산업 안전시스템의 문제점 및 한계점
도축업은 현재 도축장 검사관이 부족하여서 안전 관리와 위생관리, 감독에서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 도축장 검사관은 가축과 식육검사, 도축장 위생관리 지도·감독, 도축장 종업원의 준수사항 이행 여부 점검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수의사가 맡고 있다. 작년과 재작년에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계속해서 검사관 채용 공고를 냈지만, 수의사들이 지원하지 않았다. 또 다른 문제점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이 분리돼 있어, 효율적인 관리 감독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도축업은 현재 작업 중 보호 안경을 착용하는 종사자는 방역사 13.4%, 검사관과 보조원 4.2%, 도축작업자 8.9%, 부산물처리자 7.8%이며 HACCP(해썹,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인증을 받은 도축장의 20% 이상이 부적합 판정을 받는 등 축산물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분석대상의 위험성 평가 동기 및 필요성
소와 돼지, 닭 등 가축의 도축 물량이 해마다 급증하면서 근로자들의 재해율이 해마다 상승하고 있다.
참고 자료
안전보건공단(2012). 식료품제조업(육제품제조)의 산업안전보건 실무 전반을 수록한 지침서, 고용노동부.
축산업 정육 상식(2014). 제 5편 돼지 도축업의 영업시설기준, https://themeat.tistory.com/1885.
CBS 노컷뉴스(2017). “도축장 위생 엉망… 검사인력 부족, 해썹도 못믿어”, https://www.nocutnews.co.kr/news/4859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