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SNS 서비스의 이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는 사이버 공간은 이미 사람들에게 또 다른 새로운 활동의 장이 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여가활동조사(2019)에 따르면, 피조사자 전체 중 70.4%가 인터넷검색, 채팅, UCC제작, SNS활동을 지난 1년 동안 취미 및 오락 활동으로 즐겼다고 응답했다.
특히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개인을 드러내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SNS는 사용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그리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
참고자료
· 국민여가활동조사(2019), 문화체육관광부
· 가짜뉴스의 세계(2020), 장준원,
· https://www.knun.net/mobile/article.html?no=20127
· 가짜뉴스는 확증편향을 타고 전파된다(2019),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kepticmgz/221559674885
· 사생활 침해: 페이스북 '방문 기록 수집 중지' 기능이 나왔다(2019),
·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49406850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2020.10.),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C%85%9C_%EB%84%A4%ED%8A%B8%EC%9B%8C%ED%81%AC_%EC%84%9C%EB%B9%84%EC%8A%A4
· 인터넷 익숙해도 속수무책 SNS 해킹(2017), 박세준,
· https://weekly.donga.com/List/3/all/11/941940/1
· SNS에 대처해야 할 자세(2013), 김정열, http://times.postech.ac.kr/news/articleView.html?idxno=6836
· SNS 중독되면 자칫 우울증 발병 위험 높아진다고?(2019), 정소영,
·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3/14775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