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집단과 절대적 진리의 역설적 관계에 대하여 (긍정적 독단론, 부정적 독단론, 희의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소크라테스는 왜 탈옥이 아닌 죽음을 택하였는가
3. 상대주의적 철학과 사회집단의 관계성
4. 회의주의의 발전과 인류사
5. 맺음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약]
본 논문에서 필자는 진리의 존재여부에 대한 철학적 입장 차이를 논의하였다. 특히 긍정적 독단론, 부정적 독단론, 회의론적 입장을 사회⋅정치학적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이는 단순히 세 가지 철학의 이론적 인식에서 벗어나 사회적 배경에 따른 진리의 철학적 이해와 이론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자 함이다. 소크라테스는 긍정적 독단론자로서 보편적이고, 절대주의적인 진리가 존재한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추구하는 삶을 목표했다. 이 같은 철학사상은 사람마다 해당되는 진리가 다르다고 말하는 상대주의적 윤리관, 즉 부정적 독단론자인 프로타고라스를 비롯한 소피스트들과는 철저히 대응되는 부분이었다. 특히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라는 상대주의적 철학을 주장하며 당시 시대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 앞선 두 이론적 관점이 진리 존재의 명제를 참과 거짓으로 판단하는 반면 이들과는 다르게 진리의 존재여부 자체를 판단할 수 없다는 회의론자들 또한 생겨났다. 이들은 절대적 진리의 존재 여부에서 탈피해 ‘피론주의’라는 일종의 판단유보 개념의 철학적 입장을 고수했으며, 앞선 이론들을 독단주의로 규정한 이후, 비독단적 표현을 통해 ‘절대적 진리’을 찾아 나서야 할 탐구적 존재로 표현했다.
결론적으로 진리에 대한 명제에서 세 가지의 철학이론이 탄생하였는데, 이 같은 탄생배경은 각 학파 간 단순한 이념 대립 이상의 강력한 독립적 변수가 작용하였다고 추측된다. 필자는 이를 사회적 요소, 특히 시대적 배경에서의 사회집단 성향과 연관되었다고 판단하며 철학이 개인을 넘어서 집단, 국가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머리말
소크라테스는 철학자이자 명언가로 익히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는 ‘악법도 법이다.’라는 명언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 명언의 출처2가 바로 본 논문에서 참고한 플라톤의 『크리톤』이다. 위문단은 소크라테스와 크리톤의 담화 중 소크라테스가 탈옥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대목이다.
참고 자료
박규철 , 『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회의주의 PH 와 M 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2017
권창은 , 강정인 ,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 』 , 고려대학교 출판부 , 2005
플라톤 , 김세나 역 , 『소크라테스의 크리톤』 , 소울메이트 , 2015
박혁 , 『플라톤과 서구 정치철학 전통의 성립』 , 2009
박효종 , 이진희 , 『소크라테스의 시민성에 대한 일 고찰』 , 2004
이진우 , 『의심의 철학』 , 2017
김재헌 , 『 플라톤의 소피스트 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 주도적 물음과 그 해명 』 , 2012
나영인 , 『 앎과 윤리 규범에 관한 소피스트들 및 소크라테스의 입장 』 , 2011
박성우, 『 플라톤의 변명과 소크라테스적 정치적 삶』 , 2004
박성우 , 『 변론 과 크리톤 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의 재해석』 , 2010
이주환 , 『 믿음 과 인식적 수용』 , 2017
한병준 , 『 나는 생각한다 를 중심으로 한 데카르트와 칸트의 이원론적 관점의 차이에 대한 고찰』 , 2007
백주진 , 『데카르트 회의와 고대 회의주의』 , 2019
권경휘 , 『법의 규범적 성격에 관한 연구』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