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위관장애 대상자의 주관적, 객관적 자료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주/객관적 자료는 특정 인물이 아닌 모든 소화기계 장애 대상자의 특징에 대한 정리입니다.
특정 사례가 아님을 사전에 알려드립니다. (case 문헌고찰용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듯합니다.)
1. 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1) 구조
- 위장관계(GI tract, alimentary canal)는 구강,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 곧창자, 항문으로 구성되며, 소화액을 분비하는 침샘, 간, 쓸개, 이자와 같은 부속기와 연결됨
(2) 구강
-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
- 구강 안: 미각수용체, 28개의 치아와 2상의 사랑니
- 구강상부: 물렁입천장와 단단입천장
- 구강바닥: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혀밑침샘, 턱밑침샘, 귀밑침샘
- 침은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으로 하루 1,000~1,500 ml 분비, pH 6.0~7.0 약산성, 나트륨, 칼륨, 칼슘, 중탄산, 프리알린 포함함, 음식물 삼키기 쉽게 하며, 프리알린은 다당류인 전분을 이당류로 분해
(3) 식도
-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
- 식도는 길이 약 20 cm, 지름 약 2.5 cm인 관, 기도 뒤에 위치 - 가로막 - 식도구멍 거쳐 위와 연결됨
- 식도벽 점액: 음식물 잘 지나가도록 매끄럽게 해주고 식도벽 보호함
- 음식덩이는 연동운동을 통해 식도로 이동하여 위와 연결된 들문 거쳐 위로 들어감
- 들문조임근의 압력: 음식 삼킬 때 감소 - 음식물 내려감 - 압력 가함 -> 식도로 역류되는 것 막음
(4) 위
- 근육으로 된 둥근 주머니, 죄상복부에 위치하며 바닥, 몸통, 날문 안뜰로 구분
- 식도와 위 사이에 들문조임근, 위와 샘창자 사이에 날문조임근
- 복강동맥으로 혈액 공급, 정맥혈은 문맥 통해 간으로 이동
- 음식물 저장하고 소화액 분비하여 음식물 용해시킴
- 하루 3L 정도의 위액 분비, 염산, 점액, 소화효소 포함
- 위점막에는 G세포, 벽세포, 으뜸세포, 점액분비세포 등이 있음
- 염산: 위를 산성으로 유지, 가스트린에 의해 분비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