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식생활 변화 양상
- 전통음식의 섭취 감소: 전통음식이 전체 식사에서 차지하는 비율, 점차 감소
- 먹거리의 다양화: 글로벌 음식문화 확산으로 인한 먹거리 다양화
- 주식의 변화: 고기나 방, 밀가루로 변화
- 식생활의 서구화: 고지방, 저섬유직 음식 섭취
-> 밥과 국, 그리고 김치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우리의 식문화가 크게 위축되는 추세.
성인병: 성인이 잘 걸리는 만성질병- 스트레스, 생활습관 불량 등에서 기인
참고자료
· 박건영, 이숙희, 한국 전통식품의 특성과 암예방 효과, 2001.01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3151524001#csidx8cc41775a04dc27921224122969e799
· http://khmcmagazine.com/?p=4626
· https://www.youtube.com/user/NewsKBS (KBS NEWS 공식 유튜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