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신체사정
3. 진단적 검사 및 결과
4. 투약
5. 간호진단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 뇌출혈(cerebral hemorrhage)이란?
뇌를 둘러싼 3종류의 막(경막, 지주막, 연막) 사이사이에서 일어나는 출혈을 총칭하며 출혈의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뇌에 생긴 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 ICH), 뇌막을 기준으로 두 개골과 뇌막사이에 생긴 경막외출혈 (Epidural hemorrhage ; EDH), 뇌막 중에서도 경막 아래에 생긴 경막하출혈 (Subdural hemorrhage ; SDH), 지주막하 공간에 생긴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 SAH), 뇌실에 생긴 뇌실내출혈 ( Intraventricular hemorrhage ; IVH)로 나눌 수 있다.
뇌실 내 출혈은 정상적으로 뇌척수액이 차 있는 뇌실내로 출혈이 생기는 것이다.
2. 병태생리
뇌실 내 일정 부분의 혈관 발달이 미숙해서 혈관이 매우 약한 상태인데, 이 혈관을 통과하는 혈액의 압력이나 용량등에 의해 혈관이 터져 발생한다.
3. 진단방법
① Brain CT
: 터진 위치, 기간, 출혈 범위와 그에 따른 뇌의 부종이나 밀린 정도,뇌실의 막힘 정도를 알아낸다. 뇌출혈의 경우 CT 영상에 고강도의 음영이 관찰되므로 즉시 확인된다.
② Brain MRI
: 다발성 뇌동맥류 경우 Brain CT보다 예민하고, 혈관 연축이 야기되는 뇌허혈 상태를 일찍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작은 혈관에 나타나는 허혈성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MRI는 아주 초기 (발병 후 30분~1시간)의 병변이나 작은 병변도 발견할 수 있어 많이 활용된다.
③ 뇌혈관 조영술 (Cerebral angiography)
: 혈관조영술은 동맥의 협착, 폐색, 출혈 유무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검사이다. 자기공명혈관조영술(MRA)은 두 개 내.외 뇌혈관질환의 진단에 많이 활용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