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조경문화
- 최초 등록일
- 2021.04.11
- 최종 저작일
- 2020.10
- 30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소개글
"한국의 조경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려시대의 조경식물
1) 문집
2) 문집을 조사하여 언급된 조경수목
2. 조선시대 창경궁
1) 기본사항
2) 조영의 역사와 배경
3) 입지 및 배치
4) 조요 원요
3. 종묘
1) 기본사항
2) 조영의 역사와 배경
3) 입지 및 배치
4) 주요원요
4. 덕수궁
1) 기본사항
2) 조영의 역사와 배경
3) 입지 및 배치
4) 주요 원유
5. 경희궁
1) 기본 사항
2) 조영의 역사와 배경
3) 입지 및 배치
4) 주요 원유
6. 읍성
1) 개관
2) 읍성의 입지 및 유형
3) 읍성의 공간구성
4) 읍성의 경관구조
7. 낙압 읍성
8. 왕의 공간구성
1) 진입공간
2) 제향공간과 전아공간(성과 속의 만남공간)
3) 능침공간 (성역공간)
9. 왕릉의 공간구성요소
1) 능원의 건축물
2) 능원의 석조물
3) 능역의 연못
10. 전통마을과 주택에서 마을의 고간구성과 조영관리
1) 객관
2) 마을의 공간구성과 조영원리
11. 참고문헌
12. 고찰
본문내용
2. 조선시대 창경궁
2-1 기본사항
창경궁은 성종 15년(1484년)에 조성된 이궁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1번지에 있으며 전체 면적 173,800(52600여평)이고,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123호이다.
2-2 조영의 역사와 배경
창경궁은 세조의 비 정희왕후와 생모 소혜왕후 및 양모인 예종의 비 안순왕후를 위해 성종 14년(1483년)에 창건한 것이다.
성종은1484년 3월 주위에 담을 쌓고, 정원서로 하여금 궁 내부가 보이지 않게 어구주위에 버드나무를 심게 했다. 연산군 때에는 춘당지 북쪽에 서충대를 조성하고 큰 못을 파는 공사를 진행했으나, 1506년 9월 중종반정으로 중단, 중종2년 서총대 일주 시설이 철거되었다. 그런데 1560년 명종은 서총대에서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연회를 베풀어 유희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종은 창덕궁에 거치면서 때때로 창덕궁에 나가 명정전, 통명전, 영춘헌등 자연경관이 좋은 것에서 신하들과 경전이나 사기에 강론하기도 했다. 그러나 순종이 즉위하면서 일제에 의해 창덕궁의 선입문 안 보루각 터에 동물원을 짓고, 춘당대에는 식물원을 지었으며, 권농장 테에 춘단지를 파 1909년 11월에 준공식을 했다. 1984년 창덕궁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동∙식물원을 폐쇄했으며, 이어 1987년 3년간 정전과 회랑을 중창해 옛 궁원의 모습으로 정비했다.
2-3 입지 및 배치
창덕궁은 백안의 한 줄기가 내룡의 지세로 남향하여 뻗은 완만한 산줄기 중간에 동향으로 정전을 배치했으며, 정전의 문과 궁의 정문(홍화문), 화랑 등은 동향으로 배치했다. 다른 건물들은 명정전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고 호행되거나 직교된다. 이는 궁궐의 많은 건물들은 독립해서 조영했기 때문이며 각 건물마다 고유한 중심축이 따로 있다. 침전인 숭문당, 경춘전은 동향이나 통명정, 양화당, 집복헌, 영춘헌, 환경전, 함인정 및 낙선재 지역의 수강재, 석복헌, 취운정, 상량정, 승화루등은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참고 자료
저서 (사)한국전통조경학회 『공양조경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