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평생학습제도 3가지의 장점과 단점,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제도와 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점은행제
2. 대학 평생교육 지원체제 사업 LiFE
3. 평생학습계좌제
4. 적합한 학습제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생’이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lifelong, 인간의 일생 전체를 통틀어 일컫는 단어다. 평생교육이란 소위 말하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모태 시절부터 죽을 때까지 평생에 걸쳐 행하여지는 교육이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까지 알아왔던 ‘교육’은 학교 중심으로, 일부 소년에서 청소년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 교육이었다. 평생교육의 창시자라고 불리는 랑그랑은 “평생교육은 개인의 출생부터 죽을 때까지의 생애에 걸친 교육과 개인 및 사회 전체의 교육의 통합”이라고 말함으로써 삶을 구성하는 총체적 시간과 공간을 아우르는 틈새없는 교육망을 개념적으로 설정하였다. (김종서 외, 2000;2)
평생교육의 핵심은 학습자들이 평생학습을 통해 자신을 끊임없이 재구성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과정, 방법, 제도 등을 의미한다. 즉, 평생교육은 학습자를 지원하고 제도를 개혁하는 등의 관리라고 할 수 있다.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요구를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도권을 가지는 자기 주도적 학습이야말로 평생학습의 제일의 본질이다.
평생학습을 통한 노동력의 증가가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인식 아래, 국가는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참고자료
· 강대중 외(2017).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 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23(4), 27~53.
· 김종서 외(2000). <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 이정표 외(2008). 평생학습계좌제 도입의 사회적 경제적 활용도 제고 방안: 평생학습 이력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중심으로. 한양여자대학. 교육과 학기술부.
·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기본계획(안). 평생미래교육국. 평생학습정책과. 2019.2.
· 김세준 기자(2020). 4년제 학위 취득... ‘사이버대, 방통대, 학점은행제’ 장단점은?. 에듀인사이드. 2020.08.12.
· 박나리 기자(2019). 학점은행제vs독학학위제 중 나에게 맞는 학위취득 방법은. 뉴스프리존. 2019.10.29.
· 교육부 LiFE사업 대학 http://futureuniv.or.kr/index.asp#section5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독학학위제 https://bdes.nile.or.kr:444/nile/base/bdesMain.do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LiFE 사업 사람투자. https://univ.nile.or.kr/nile/main.do
· 평생학습계좌제. https://www.all.go.kr/center/common/main/mainForCenter.do
· 평택시 평생학습포털. www.pyeongtaek.go.kr/learning.
· 학점은행제. https://www.cb.or.kr/creditbank/base/nMain.do
· e-나라지표, 학점은행제 및 독학학위제 학위수여자 현황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5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