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Ⅱ. 치매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치매에 대한 이해
2. 치매의 종류
Ⅲ. 치매노인 가족의 특성과 문제점
1. 치매노인 가족의 특성
2. 치매노인 가족의 문제점
Ⅳ. 치매 정책의 현황
Ⅴ. 치매노인 가족 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
1. 치매예방을 위한 대책
2. 치매노인부양 방법에 대한 교육 및 정보제공 서비스
3. 지역단위의 재가 복지서비스의 확대
4. 치매노인부양자를 위한 심리적, 경제적인 지원체계의 강화
5. 치매노인 가족모임 또는 자조집단 프로그램
6. 치매노인 서비스전달체계의 개편
7. 사례관리를 통한 통합적서비스의 제공
8. 치매부양가족과의 상담의 필요성
9. 치매상담센터의 활성화
10. 치매 전문인력의 양성
Ⅵ. 결론
본문내용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 의학과 경제 발전으로 기인하여 생활수준이 향상됨으로써 인간 평균수명의 연장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세계에 유례없이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 연장과 고령화로 접어드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일본은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가 되기까지 36년이란 시간이 걸렸고 스웨덴은 127년 프랑스는 154년이란 긴 시간이 걸렸지만 우리는 불과 한 세대도 되지 않는 26년이란 짧은 시간에 이런 변화가 예상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0년도에 전체 인구의 65세 이하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2%에 달하며 2011년에는 11.4%의 비율을 보이다가 이후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2018년에 14.3%를 기록하면서 2026년이면 20.8%의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평균수명의 연장과 초고령 사회화가 진전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중에서 치매와 중풍 노인의 증가는 우리 사회에 많은 위험부담을 가져다주고 있다. 노인의 저하된 신체기능은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되고 결국 의료와 타인의 도움이 수반된 사회적 서비스인 장기요양의 확대 필요성을 초래하게 했고 그 수요로 인한 비용적 문제가 사회적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노인성 질병들은 만성적이고 퇴행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서 계속 진행되고 중증화되어 가기 때문에 노인 요양 보호는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 연령대별로 중요한 질환들을 살펴보자면 65∼74세는 고혈압이, 75∼84세는 뇌혈관 질환이, 85세 이상에서는 단연코 치매가 높다. 진료비도 역시나 이 순위대로 치매가 1위를 차지하고 있다(이정은, 2018).
노인 인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바로 노인문제의 비중이 그만큼 점증되고 있다는 상황과 일맥상통 한다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또한 노인층의 안정과 통합 및 이를 위한 물질적. 비물질적 전제조건들을 사회적 차원에서 뒷받침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된다.
참고 자료
김나래,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부양제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김민경, 서정화, “국내외 치매관리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국가정책연구, 31(1), 2017
김원옥, “치매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김태현, 전길양,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15(1), 1995
문용숙, “치매노인의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우행원, 「신경정신의학」서울: 노인정신의학, 1997
이광석, 이희주,“치매특별등급의 의의와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1), 2014
이재숙, “노인장기요양보험 5등급(치매특별등급)의 실태와 시사점”,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정재훈, “치매노인과 일반노인 부양자의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4), 2013
조현, 치매노인과 장기요양보험, 계축문화사, 2018
최희경,“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1, 2016
통계청, “노인인구수 : 장래인구추계”, 2018
이영만,신동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산업진흥원, 산업진흥연구, Vol.5 No.2, 2020
이정은, “장기요양보험 치매등급제도 도입이 치매환자의 의료 이용”, 2018
정연주, “치매노인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치매특별등급서비스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심윤무,“치매전담형 공립 노인요양시설 확충사업의 과제와 발전방안”, 자치발전, 한국자치발전연구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