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일기 문제로 인한 한일 갈등(PPT 비번 1111)
록킁롤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욱일기 문제로 인한 한일갈등에 대한 내용입니다.PPT 발표자료와 양식을 갖춘 최종보고서 2가지가 압축파일에 담겨져 있습니다.
PPT자료 비번은 1111 입니다. 잊지 마십시오.
2020년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일어난 욱일기 문제 사례를 바탕으로 만든 과제 임으로
욱일기 관련 한일 갈등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원하신다면 다른 자료를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1. 군국주의의 상징 ‘욱일기’2. 사례로 보는 욱일기 문제(2018-2020년도 중심)
2-1 2018년 대한민국 해군 국제 관함식 사례
2-2 2020 도쿄 하계올림픽&패럴림픽 사례
2-3 PC 판매사 AMD 사례
2-4 ‘윤미향 논란’ 극우단체 시위 사례
2-5 축구 관련 사례
3. 결론 및 함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과거 사무라이 가문의 문장이 붉은 해에서 햇살이 확산 되는 문양을 써왔으며, 1870년 5월 15일(메이지 유신 시대) 일본 육군 창설을 앞두고 ‘육군어 국기’ 즉 욱일기가 일본의 국기로 쓰이기 시작했다.-메이지 유신 당시, 일본이 당면한 과제 중 가장 큰 문제는 제각각 영주의 군대를 묶는 것이었고 이를 하나의 천황의 군대로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노력의 결실을 거두게 된다.
-그래서 당시의 욱일기 햇살 16개의 문양은 왕실의 문장 국화 16개와 동일 하며, 이는 곧 천황 군대의 공식 상징화가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1879년 야스쿠니 신사가 설립되면서 천황을 위해 죽음을 마다하지 않는다는 이데올로기가 자국민에 전파되었고, 1889년 욱일기 속 태양의 위치가 깃대 쪽으로 조금 옮겨진 욱일기를 군함기로 제정하게 된다.
< 중 략 >
욱일기 관련 기존 연구 사례와 최근 욱일기 문제 사례들을 다루면서, 한일 갈등의 원인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사실들로 도출해 본 결과로는 모두 다 공통적으로 문제시하고 있는 ‘일본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이데올로기 추구적 현상 문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사례 2-1, 2-2, 2-4는 욱일기 관련 한일 갈등의 직접적인 충돌이 보다 부각된 사례들이며 정부 대 정부 갈등, 기관 대 정부 갈등, 각국 우익 단체들 간 제휴로 인한 국내 갈등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사례들 속에서 양국의 입장과 관련하여 생각해서 정리해 이 갈등 사례들을 살펴보면, 일본은 욱일기라는 자국 혹은 기관의 상징적 의미를 지속적으로 계승하고자 하며 이것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그래서 한국과의 직접적인 갈등 속에서 욱일기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표명하며 ‘사용에 문제 없다’로 대응했다. 하지만 한국은 뼈아픈 식민지 역사를 보내며 일본이 욱일기를 군국주의의 상징적 의미로 써왔던 역사적 사실을 알고 있고, 일본의 욱일기 상징적 의미 계승을 문제시하고 사용을 전면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계속해서 표명하며 대응하고 있다.
참고 자료
박미영(Park MiYoung). "하켄크로이츠와욱일기상징에 나타난 문화정체성의 메타언어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23.4 (2017): 387-398.이원덕. (2019). 대결로 치닫는 한일관계: 어떻게 풀 것인가?. Jpi정책포럼, 224(0), 1-17.
신진호 기자, 2018/09/06, 서울신문,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81&aid=0002941203
뉴스1, 2020/05/07, dongA.com,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507/100939246/1
위키백과, 2020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논쟁, https://ko.wikipedia.org/wiki/2020%EB%85%84_%ED%95%98%EA%B3%84_%EC%98%AC%EB%A6%BC%ED%94%BD%EC%97%90_%EA%B4%80%ED%95%9C_%EB%85%BC%EC%9F%81
권봉석기자, 2020/10/26, ZDNET KOREA, https://zdnet.co.kr/view/?no=20201026114419
권종오기자, 2020/10/27, SBS NEWS,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045042&plink=ORI&cooper=NAVER•최원철 기자, 2020/10/14,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427835
이희훈, 김종훈 기자, 2020/07/01, ohmynews,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54786&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조경건기자, 2020/10/15, 부산닷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101509220984908
이예원기자, 2019/12/22, JTBC,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25394
신보영기자, 2019/07/12,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71201032930116001
압축파일 내 파일목록
욱일기.hwp
욱일기.pptx
욱일기.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