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티파나뉴스 박으뜸 기자의 기사에 의하면 “세브란스 병원 폐이식클리닉 이진구 교수(흉부외과)는 최근 부산대 병원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에크모(ECMO)를 사용하여 폐이식을 받은 환자가 기존 체외순환기(CPB)를 사용한 환자보다 수술 성공률이 더 높다는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해 큰 관심을 이끌어냈다”고 보도했다. 또 '생체 간이식'의 안전성이 입증되고 성공률이 90%가 넘으며, 공여자 부작용이 2%미만을 보이며 장기이식의 부작용 사례 또한 줄고있다고 보도된 바가 있다. 장기이식은 사실 기증자가 나타나면 무조건 성공하는 수술이 아니다. 이것은 많은 수술 기구들과 의사들의 오래된 경험으로 숙달된 실력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장기이식은 성공하기 힘들다. 현대사회의 흐름에 발맞춰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의료기술도 나날이 발전해 가고 있는데, 장기이식의 활성화로인한 의료기술면에 있어서의 진보는 장기이식의 긍정적인 면으로 꼽을 수 있다. 섬세함이 요구되는 수술인 만큼 많은 의료연구와 결과들이 나오고 있고 이에 따른 의료기술의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이하 KONOS)
· https://www.konos.go.kr/konosis/index.jsp
· 생명 나눔 안내->장기 기증과 이식(제목1)
· ‘장기 등 이식 통계연보’(그래프1,2)
· http://www.vop.co.kr/A00001088971.html(그림 2)
·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06726&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2-1 기술적 진보 내용 인용)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621_0014959006&cID=10204&pID=10200(2-1 기술적 진보 내용 인용)
· 논문, 저자: 최상희 『장기이식과 자기결정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