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시간 성조숙증 문제 관련으로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
잘 정리되어있으니 참고하시기 좋아요.
도움이 되기를 바래요!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신체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1) 소아비만
2) 스트레스
2.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Ⅲ. 결론 및 제언
1. 결 론
2. 제 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아이의 성장발달 과정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그 중 자녀의 빠른 성장속도에 관한 문제 때문에 내원하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과거와는 달리 요새 성조숙증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부모들이 자녀의 성장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근 5년 사이에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는 아동들이 급증했다. 10여년 전만 해도 성조숙증이란 질병은 외국아이들에게만 있는 질병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최근 들어 우리나라 아이들 특히 여자아이들의 초경시기가 외국아이들보다도 더 빨라지고 있다는 통계자료가 있다. 환경호르몬의 증가와 소아비만, 내분비계 교란등으로 인해 성조숙증 아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성 조숙증이란 여아에서는 8세미만, 남아에서는 9세 이전에 사춘기가 발달되는 것을 말한다. 성조숙증이 나타나게 되면 2차 성징의 조기발현, 빠른 골 성숙, 저신장증, 부적절한 체형 등이 관찰되며(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당뇨병 등의 각종 내분비질환, 유방암, 자궁내막암, 고환암 등의 암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보고된다(Bodicoat 등,2014).
이렇게 성 조숙증 아동들은 또래아이들과는 다른 신체적 성장속도 때문에 따돌림, 이탈 등의 정서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정신적으로는 우울과 불안이 증가하며 사회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이런 문제를 가진 아동의 어머니들 역시 심리적 불안, 슬픔, 역할갈등을 겪게 되어 부정적 정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문제를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고 그에 따른 예방책 및 간호중재에 대해 알아보자.
Ⅱ. 본 론
1. 신체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먼저, 신체적인 면에서는 일찍 사춘기발달을 겪는 아동들은 성호르몬이 조기에 과다분비되어 뼈의 성장판이 정상보다 일찍 닫히게 된다. 따라서 성장기간이 짧아져 저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참고자료
· 김지은 (2015. 10. 08). 가을은 살찌는 계절? 모델 키 원한다면 소아비만 경계해야. 스포츠 서울.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301859#close_kova에서 검색
· 김지혜(2014. 10). 성조숙증, 혹시 당신의 아이도 ?. 우먼센스. 201410,
·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n?id=19&id=&contets_id=703 검색
· Yoon, I. K., Jeon, S. K., & Park, J. Y. (2009). A study of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 (1), 73-92.
· 노소영, 김계하 (2012), 초등학교 저학년 여학생의 성 성숙과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에
·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3권 제4호 405-414, 2012. 1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