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학에 대한 법적 병리학적 접근에 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21.03.29
- 최종 저작일
- 2020.05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이상심리학에 대한 법적 병리학적 접근에 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 설
II. 이상심리학의 기초
1. 이상심리를 판별하는 기준
2. 이상심리의 역사와 현대의 흐름
3. 이상심리학의 주요 주제
4. 이상심리를 설명하는 모델과 치료적 개입
5. 이상행동의 분류 및 진단 체계
6. 정신장애의 공식 진단 분류 체계
Ⅲ. 이상심리학에 대한 법적 접근
1.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
2. 정신병으로 인한 무죄 항변
3. 위험성 평정
Ⅳ. 이상심리학에 대한 병리학적 접근
1. 뇌의 해부학적 구조나 화학 과정에서의 문제
2. 생물학적 치료법
본문내용
Ⅰ. 서 설
이상심리학은 정신장애의 특성, 원인 및 치료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학문 영역이다. 정신장애가 있다는 것은 정신질환(mental illness), 부적응 행동(maladaptive behavior), 이상행동(abnormal behavior)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Ⅱ. 이상심리학의 기초
1. 이상심리를 판별하는 기준
이상심리가 무엇인가에 대해 단 하나의 공통된 정의는 없다. 비정상적인 행동, 즉 이상행동이나 이상심리를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누군가를 이상하다고 보기 위해서는 단일한 행동만이 아닌 여러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상행동인지 아닌지 판별하기 위한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다음의 5가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주관적인 고통(suffering)을 꼽을 수 있다. 원하는 직장을 얻지 못한 구직 청년이 잠시 우울해하는 것에 대해 주관적 고통이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그렇다고 심리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실직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서 식욕이 떨어지고 우울해서 종일 누워서 잠을 자고 아무런 의욕이 생기지 않는 상태라면 심리장애가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우울증 진단을 내릴 정도의 정서적 고통이 심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주관적으로 심한 정서적 고통을 느껴야 한다는 점에서 정상과 이상을 판단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다. 어떤 경우는 주관적 고통이 심하지 않게 보이는 심리장애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조증과 같이 기분이 아주 좋은 상태(high)라면 정서적 고통을 별로 느끼지 않는다. 사기나 폭력으로 교도소를 들락거리는 사람은 주관적 고통을 별로 느끼지 않지만 반사회성 성격장애라는 심리장애를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