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헌고찰
1) 무릎 관절의 구조와 기능
2) 골 관절염(osteoarthritis)
3) 인공 무릎 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4) 무릎 관절 전치환술 환자 간호
2.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대상자의 건강력
3) 건강 사정
4) 신체 검진
5) 약물
6) 진단검사
3. 간호과정
1) 우선순위 간호진단
2)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무릎 관절의 구조와 기능
무릎 관절은 인체 내에서 가장 큰 관절이지만 골 구조로 보아 매우 불안정한 관절이며 가 장 손상받기 쉬운 관절이다.
대퇴골(Femur), 경골(Tibia) 및 슬개골(Patella)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관절 연골(Articular Cartilage) 및 내측, 외측 반원상 연골(Meniscus)이 완충역할을 한다.
①내, 외측 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무릎 관절의 측부에서 관절의 측면운동을 제한하며 관절을 보강
②전방십자인대(ACL, Anterior Cruciate Ligament):무릎 관절 중심에서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며 경골의 전방 이동 및 회전을 제한
③후방십자인대(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 경골의 후방 이동을 제한
<중 략>
[간호사정]
1.일반적 사항
이름 : 이 xx
성별 / 연령 : F / 70
체중 / 신장 : 55kg / 170cm
입원일 / 퇴원일 / 간호수행기간 : 2014/11/7
주호소 : Lt knee pain
진단명 : Primary arthrosis of knee, bilater
2.대상자의 건강력
1)가족력(고혈압,당뇨,천식,결핵,간염 등 유전성 질환 유무) : 간암(형제)
2)과거력(질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상용하는 약물) :
당뇨 2010년
갑상선 2010년
3)현병력
①발병당시~입원일
상기환자 DM, thyroid disorder 과거력 있는 분으로 특이 수상력 없는 분으로 20년전 develop된 상기증상 주소로 세브란스 병원 및 local 의원에서 po medication 물리치료 및 관절주사로 통종 조절 하였으나 6개월 전부터 상기증상 aggravation 되었고, 계속하여 local 내과 관절염으로 진통제 복용하여 조절하던 분으로 증상 점점더 aggravation 되어 스스로 수술 필요성 느껴 본원 외래 내원 후 수술적 치료 결정해 입원함.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Ι, 김금순 외 8명, 2012, 수문사
· 노인과건강 최영희 외 12명, 개정 4판, 현문사)
· 기본간호학Ⅱ, 강현숙 외 16명, 2011, 수문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