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 및 검사
6. 치료
7. 수술
8. 참고! 다른 대장암수술은??
9. 수술 전 /후 관리
10. 합병증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1)정의
직장암이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종양을 말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는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cm이며,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눌 수 있고, 천골의 앞면에서 가운데를 따라 내려가 항문에 끝난다.
직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며, 이 외에도 유암종,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2)병태생리
약70%의 결장직장암이 S자상결장과 직장에서 발생하며 이 외의 결장직장암은 상행결장(16%), 횡행결장과 좌결장곡(8%), 하행결장(6%)에서 발생한다. 조직학적으로 선암(adenocarcinoma)가 결장직장암의 90~95%를 차지하고 편평세포암종, 이분화암종 직장유암종이 5~10%를 차지하며 희귀하게 육종의 소견도 보인다. 병소로 인해 좁아진 내강으로 대변이 통과하지 못하며 폐색이 일어날 수 있다.
결장직장암은 직접 전파되어 림프나 순환계를 통해서 전파될 수 있으며, 복막이나 결장에서 원거리로 전이될 수 있다. 간과 폐는 원격전이되는 대표적 장기이다.
<중 략>
10)수술 전 /후 관리
수술 전
①장에 대변이 축적되지 않도록 수술 전 2-3일 동인 구강으로 수분만을 섭취한다.
②수술 전 12-48시간 동안 구강으로 장내세균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③수분-전해질 불균형은 수술 전에 교정한다.
④영양 결핍은 수술 후 합병증의 원인이 되므로 수술 전에 영양 상태를 사정하고 필요시 비경구 영양을 공급한다.
참고자료
· 제4판 성인간호학 (상)-전시자 외 공저, 현문사, 2005
· 제2판 성인간호학 1 김조자 외 공저, 현문사, 2000
· 일반병리학 박창수 외 공저, KMS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