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패혈증(sepsis) 문헌고찰(주제발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진단명
2. 원인
3. 의의
Ⅱ.본론
1. 병태생리
2. 진단검사
3. 약물
Ⅲ.결론
1. 간호문제
2. 간호계획
3. 간호중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1. 진단명
패혈증(敗血症, sepsis)
2. 원인
다양한 병원체가 원인이 되며 세균과 진균 등에 의한 감염으로 원연 병원체가 혈액 내로 침범하여 패혈증을 일으킨다. 2019년~2020년에 실시한 패혈증 역학조사(건강과 질뱡 제13권, 제37호)에 따르면 지역사회 발생 패혈증(Community onset sepsis, COS)과 병원 발생 패혈증(Hospital onset sepsis)에서 전체 조사한 2125건 중 422건에서 항생제 내성균이 검출되었으며, 그람 음성균인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가 원인균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전체적인 비율은 다음 그림과 같다.
3. 의의
패혈증이란 감염에 대한 숙주의 전신 염증반응으로 생리적, 병리적, 생화학적 이상으로 전신에 증상이나타난 증후군이다. 정확하게는 패혈증 테스코포스의 Sepsis-3 정의에 따라 패혈증은 ‘감염에 대한 숙주의 조절되지 않는 반응에 의해 유발된 생명을 위협하는 장기부전(2016)이며, 여기에서 장기부전은 SOFA 점수체계를 이용 2점 이상이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기존에 있던 SIRS[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drome]은 논란의 여지가 있어 개정되었다.
또한, 패혈증의 부분으로 분류되는 패혈성 쇼크는 ‘심각한 순환계, 세포 및 대사계의 이상이 있는 상태로 패혈증만 단독으로 있는 상태보다 더 사망률이 높다.‘로 정의된다. 여기서 패혈증 쇼크의 진단기준은 ‘패혈증 진단 환자이며, 적절하게 수액치료가 진행중이지만 적절한 평균동맥압(MAP) 유지(65mmHg이상)를 위해 승압제를 써야하는 것과 동시에 락테이트 수치가 2mmol/L(18mg/dL)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SBP 90mmHg 이하 혹은 평균 동맥압 65mmHg 이하) 그리고 중증 패혈증은 보통 저혈압, 장기부전, 조직관류저하가 동반된 상태이며, 패혈증의 가장 흔한 원발 감염병소는 호흡기계(48.1%), 복강(24.8%), 비뇨기계(16.1%) 순이다.
참고 자료
박강균, 김상하, 최종태, 김성현, 김영권, &유영빈. (2017). 혈액배양 양성검체에서 패혈증 원인균 신속동정을 위한 Vitek MS 시스템의 유용성 평가.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49(4), 407-412.
안세중, 송주현, 문성우, 조한진, 김주영, &박종학. (2020). 패혈증-3 정의에 따라 진단된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패혈증 살리기 캠페인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와 환자 예후와의 상관 관계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31(139). 45-51.
박순영, &홍상범. (2015). 중증 패혈증과 패혈쇼크의 치료.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8(1), 9-15
석혜리, &박대원. (2019). 패혈증의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항생제 스튜어드십. 대한의사협회지. 62(12), 638~644
김성남, 박현정, 이형민, 임채만, 오동규, &서지영. (2020). 국내 패혈증 환자 관리 개선을 위한 심층조사 결과(1차년도). 주간 건강과 질병. 13(37). 2750-2760
황옥남 외. (2018). 성인간호학 상(7판). 현문사.
jamanetwork[website].(2021.01.13.). https://sites.jamanetwork.com/sep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