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bacterial metabolites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 결과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및 이론적 배경
2. 실험 방법
1) 미생물 생장 분석
2) 대사물질 분석
3. 실험 결과
1) Analysis of microbial growth
2) Analysis of metabolites
4.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 및 고찰
5. 결론
6. Reference
본문내용
광밀도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의 수를 정량하고 이를 생장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광
밀도 측정에 사용한 기구는 Spectrophotometer이며, 분자마다 빛을 최대로 흡수하는 파장이
다르다는 원리를 바탕으로 박테리아가 가장 잘 흡수하는 파장인 600nm를 이용해 cell
sample에 대한 OD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각 생장 단계에서의 실제 미생물 세포수를 정량적
으로 계산해보고, 미생물 생장곡선으로 나타냄으로써 미생물 배양의 기본적인 원리를 알아본
다.
특정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작해 미생물의 대사물질을 조절하여 특정 물질을 생산하거나 제어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이해한다. Wild type strain인 E. coli K12 MG1655와 야생형 E.coli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pta(phosphate acetyltransferase), ldhA(lactate dehydrogenase), adhE (aldehyde-alcohol dehydrogenase), frdABCD (fumarate
reductase)를 없앤 DSM01 균주와 DSM01균주에 Ethanol production pathway가 새롭게 도입된 균주를 사용하여 aerobic 조건일 때와 anaerobic일때의 대사산물 양상을 분석해 볼 것이다. (frdABCD를 제거한 것은 부산물로 생성되는 Succinic acid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이번 실험에서 succinic acid의 생산은 고려하지 않았다.)
2.1 미생물 생장 분석
1) glycerol stock 으로 보관된 균주를 LB에 소량 접종하여 seed를 준비한다.
2) Seed를 각각 250mL 플라스크에 계대배양한 후 37℃, 250rpm에서 배양한다.(Working volume: 50ml)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