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통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 성인의 유병률은 2001년 8.6%에서 2017년 약 10.4%로 약 1.6%증가하였다. 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당뇨병 이환율도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더욱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필요하다.
2. 문헌고찰
<당뇨병 (Diabetes Mellitus)>
01.당뇨의 정의
WHO의 정의에 따르면 당뇨병이란 만성 고혈당 상태(혈중 포도당 농도의 과잉상태)로서 그 원인에는 다수의 환경인자, 유전인자 및 그들의 복합인자가 있는데, 고혈당은 인슐린의 결핍 또는 인슐린과 길항작용이 있는 호르몬의 과잉에서 기인한다고 추정된다. 이 불균형에 의해 당질, 단백질, 지질대사 이상이 야기된다. 그 중대한 결과로서, 당뇨병에 특징적인 여러 증상, 케톤산증(당뇨병성 혼수), 신장, 망막의 혈관병변, 말초신경장애, 고도의 동맥경화증, 발이나 다리의 절단 등이 초래되는 병이라고 되어 있다.
<중 략>
#1 수술 후 기도 내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1 수술 후 기도 내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가슴이 너무 답답해.”
- “계속 가래가 나오는데 어떻게 좀 해줘.”
- “기침이 심해서 숨을 못 쉬겠네.”
- “콧물 때문에 코가 너무 막혀.”
<객관적 자료>
-대상자가 수차례 코를 푸는 것을 관찰함.
-대상자가 수차례 가래를 뱉는 것을 관찰함.
-대상자가 얼굴이 붉어질 정도로 기침을 하는 것을 관찰함.
-대상자가 숨을 쉬기 위해 코를 벌렁거리는 모습을 관찰함.
-수술 후 대상자가 숨을 내쉬면서 용량 폐활량계를 사용하는 것을 관찰함.
-x/xx only cleaning or debridment of wound OP를 위해 general 마취 시행함.
-ABGA 결과 PO2: 65.4mmHg, O2 Sat 92.1 % 측정됨.
-Sp O2 85% 측정됨.
-Nasal O2 1L inhalation 적용중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