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발 DM foot CASE STUDY_진단치료교육적계획중재포함 A+ 소감포함 진단5개 중재3개 피드백완료
- 최초 등록일
- 2021.03.25
- 최종 저작일
- 2020.01
- 2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2020년 01월 20일부터 29일까지 순천0대학교 병원 모자병동에 입원하신 원○O님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EMR 분석, 간호사 선생님들의 조언, 환자 관찰 및 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간호진단을 내리고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사례연구를 통해 당뇨와 관련된 합병증인 당뇨발에 대한 지식 및 치료와 간호 등 대하여 학습하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이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II. 본론
A. 문헌고찰
《1》 DM foot
1. 당뇨발의 정의
당뇨병성 족부병증은 흔히 ‘당뇨발’로 불리며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발에 생기는 모든 문제를 말한다. 당뇨병 혹은 그에 따른 합병증(신경병증과 말초혈관지환) 환자 중 최대 약 25%가 해당하는 비교적 흔한 증상이다. 좁은 의미로는 당뇨 족, (당뇨병성 족부) 궤양, 혹은 (당뇨성) 창상이라고도 지칭하며 넓은 의미로는 궤양이 없더라도, 궤양이 생길 위험이 높은 상태부터 궤양이 발 전체에 침범한 괴저까지 뜻하는 광범위한 의미의 용어이다.
당뇨병 환자의 발에 생길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발의 피부 또는 점막조직이 헐어서 생기는 발 궤양이다.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약 15%가 일생 동안 한 번 이상은 발 궤양을 앓게 되며, 그중 1~3% 정도의 환자가 다리 일부를 절단하는 수술을 받는다. 특히, 당뇨병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게 되는 원인의 약 40%가 당뇨병성 족부병증이라는 통계도 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발 궤양 위험, 발 관리 지식 및 발 관리 수행』 고남경, 송미순. (2006).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발궤양 위험, 발관리 지식 및 발관리 수행. 성인간호학회지, 18(1), 81-91.
에서는 비외상성 하지 절단 수술을 받은 환자의 50%는 당뇨병성 족부질환 환자이며, 비당뇨성 환자에 비해 ‘족부질환으로 인한 하지 절단 위험’이 15배나 높다고 한다.
참고 자료
차영남 외(2013),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손영희 외(2003), 기본간호학, 현문사
손영희 외(2015), 성인간호학, 현문사
최순희 외(2004), 간호과정, 정문각
원종순 외(2010)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고남경, 송미순. (2006).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발궤양 위험, 발관리 지식 및 발관리 수행. 성인간호학회지, 18(1), 81-91.
신전도 검사 – 세브란스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treat_info/view.asp?con_no=23273
당뇨발 마사지 –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DM&MENU_ID=008039050
당뇨병성 족부병증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자나깨나 발조심, 당뇨발 (당뇨병, 습관을 바꾸면 극복할 수 있다, 대한당뇨병학회)
발목상완지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2016royel&logNo=220796071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