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화학 및 실험 예비보고서]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 통한 산소의 원자량 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방법
4. 기구와 시약
5. 참고문헌, 참고자료
본문내용
실험목적
마그네슘의 연소 반응을 통하여 결합한 산소의 원자량을 구해낸다.
이론
(1) 원자량(atomic weight)
자연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원소는 동위원소의 혼합물로 존재한다. 따라서 여러 가지 동위원소의 질량과 이들의 상대적 존재 비의 곱을 모두 더함으로써 원자량이라고 하는, 원소의 평균 원자질량(average atomic mass)을 구할 수 있다.
▲원소의 모든 동위원소에 대해
(2) 몰(mole)
1몰은 정확하게 순수한 동위원소 12C 원자 12g에 있는 원자 수에 해당하는 물체를 함유하는 물질의 양으로 정의한다. 과학자들은 이 숫자를 으로 결정하였고, 반올림하면 이 된다. 이 값을 아보가드로 수라 명명했다.
종종 역수 몰 단위인 로 인용된다. 원자 1mol, 분자 1mol 또는 어떤 것이든지 1mol은 아보가드로 수 만큼 그 물체를 가지고 있다.
분자 1mol = 분자 개
원자 1mol = 원자 개
(3) 질량 보존의 법칙
라부아지에가 발견한 법칙으로 같은 말로 질량불변의 법칙이라고 한다. 화학양론의 기초로 화학반응의 전후에서 반응물의 전체 질량은 생성물에서도 변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구성하는 성분으로 변할 뿐이며, 물질이 소멸하거나 또는 무(無)에서 물질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참고자료
· Brown 외 6명, 화학교재연구회 역, 『일반화학 14판』, 자유아카데미(2019), p.57~58,
· 안전보건공단, MSDS CAS No. 7439-95-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