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실 김명순의 생애와 문학작품, 느낀 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포털에 등록된 김명순의 생애와 문학작품의 흐름 중 일부 맞지 않는 것들이 있어 연도를 찾아보고 당시 김명순의 문학 작품을 연결 지어 그의 생애와 문학 작품의 배경을 정확히 정리했습니다!
중간 중간 제 견해가 들어가 있어서 생각을 넓히는 데도 도움이 되실 겁니다. 파이팅
포털에 등록된 김명순의 생애와 문학작품의 흐름 중 일부 맞지 않는 것들이 있어 연도를 찾아보고 당시 김명순의 문학 작품을 연결 지어 그의 생애와 문학 작품의 배경을 정확히 정리했습니다!
중간 중간 제 견해가 들어가 있어서 생각을 넓히는 데도 도움이 되실 겁니다. 파이팅
목차
1. 김명순의 생애
2. 김명순의 대표 작품과 그의 뛰어난 문학성
3. 김명순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김명순(1896~1951)은 통찰력이 뛰어나고 지식이 풍부한 작가였다. 그의 타고난 재능이 녹아든 문학은 당대 남성 문인들이 시기할 정도로 뛰어났다. 그러나 동시에 시대를 잘못 타고 난 여성이기도 했다. 재능과 열정을 가졌음에도, 자유를 추구하는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억압과 핍박을 받았기 때문이다. 탄실 김명순은 근대 교육을 받은 신여성이었지만 기생첩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는 신분적 한계가 있었다. 그는 출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로 공부에 몰두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떠난 일본 유학에서 이응준에게 데이트 강간을 당한다. 이 사실이 『매일신보』에 실명으로 보도되면서 김명순은 많은 남성에게 공격을 받는다. 성폭력을 당했다고 삿대질 당한다. 성폭행범 이응준에게 쏟아진 비난은 없다. 이는 가부장제 사회가 여성과 남성에게 달리 요구한 이중적 성 규범과 여성들에게만 강요해온 정절 이데올로기 때문이다.
김명순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와 소설, 희곡 등 140여 편(170여 편-개고본 포함)의 방대한 작품을 남기며 열정적인 문학 활동을 하였다.
참고자료
· 김동인, 「김연실전」, 『문장』, 1939~1941
· 류진아, 「근대 여성 성폭력 연구 김명순, 나혜석, 김일엽의 소설을 중심으로」,『국어 문학회』, 2016, p. 160.
· 배옥주, 「김명순 시에 나타난 말하는 주체의 심리적 갈등양상 연구」, 『국어 문학회』, 2017, p. 181.
· 서정자, 「김기진의 『김명순씨에 대한 공개장』분석」, 『여성문학연구 제 43호』 , 2017, p. 256.
· 김남석, 「여성과 문학』, 2018, p. 55.
· 남은혜, 「김명순 소설 도라다볼때, 외로운사람들에 나타난 신여성의 의미 연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8
· 송명희, 「1920년대 신여성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김명순의 『손님』을 중심으로」『문예운동사』, 2018, p. 197.
· 송명희, 「김명순 소설의 '집'과 젠더 지리학」, 『문예운동사』, 2018
· 송명희, 「김명순 소설에 재현된 구여성의 이미지」, 『문예운동사』, 2019, p. 262.
· 이은솔, 「김명순 문학과 자기 서사의 정치학 - 신여성 재현 방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