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노인청각학 기말고사 요약정리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Chapter 7. 청각학 재활/소통 관리: 통합 접근 방식
II. Chapter 8. 감각 관리: 보청기, CI, BAHA
1. Part 1: 보청기
2. HA 사용의 인구통계
3. 보청기 사용에 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보청기, 보청기 기술, 이식 가능한 장치의 개입에 대한 프로세스 기반 접근 방식
III. Chapter 9. 건강증진 및 노인을 위한 질병 예방
IV. Chapter 10. 청각산업 국가표준
1. 표준과 표준화
2.국가 직무 능력 표준[NCS]
3. KS I 0562 음향-보청기 적합 관리
본문내용
☆Verification(확인): 보청기를 제공하는 병원, 센터 입장에서 보청기가 난청인에게 적절하게 제공되었는지, 검사 수치로 확인하는 객관적인 방법
☆Validation(검증): 난청인이 보청기가 자신에게 올바르게 제공되었는지, 착용자의 청취개선 만족도를 조사하는 주관적인 방법
☆청능사의 역할: 일반적인 노화의 과정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상담 후, 난청인 개인의 요구사항에 맞는 청능 재활을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Chapter 7. 청각학 재활/소통 관리: 통합 접근 방식
·청능재활(audiological rehabilitation, AR)은 난청인의 의사소통을 최적화하기 위한 매개체이다로 매우 중요하며 효율적이고 환자 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사회와의 소통을 증진하고 활동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인지를 기본으로 한 중재를 소개
·보청기가 청력을 완벽하게 회복시키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 난청인들은 HA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함
· 성공적인 audiological management가 되기 위한 요소
(1) 인터랙티브
(2) 사람 중심적
(3) 실용적이고 좋은 접근성
(4) 파트너쉽
(5) 다면적
(6) 적응적
(7) 자기관리 강조
(8) 빈번한 피드백
(9) 측정 가능한 결과
· WHO, ICF를 건강, 환경, 그리고 개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난청으로 인한 여러 기능적인 문제에 대하여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재활계획을 세우는데 참고 할 수 있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