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본론
1. 주제
가. 줄거리
나. 본 주제(질병) 소개 : 목적과 연결되게 제시
1) 조현병의 정의
2) 조현병의 호발 연령
3) 조현병의 원인
4) 조현병의 증상
5) 조현병의 진단
6) 조현병의 치료
III. 결론
1. 전체적인 내용 정리 및 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본 주제의 필요성
조현병(schizophrenia)은 우리 사회에 널리 알려진 정신질환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정신분열증이라 명명했으나, 단어 자체가 풍기는 부정적인 인상과 편견을 줄이기 위해 2011년 조현병으로 개명되었다. 하지만 조현병은 여전히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의 범인은 조현병을 앓고 있었고, 범인들은 계획적으로 범죄를 저지른 후 조현병이라며 심신미약에 의한 감형을 주장하는게 우리 사회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편견을 가지고 보는 것이 옳을까? 한규만 교수는 “조현병 환자라고 하면 예비 범죄자로 인식하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일반인의 인구 10만 명당 범죄율이 68.2명인데 반해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의 범죄율은 10만 명당 33.7으로 절반 정도에 그친다.”고 말했다. 조현병과 정신질환에 대해 잘못된 선입견을 갖지 않고 치료가 필요한 하나의 질병으로 인식하려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조현병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영화 <뷰티풀 마인드>는 조현병을 소재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조현병의 증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약물적 치료와 주변의 노력으로 조현병을 서서히 극복해나가는 주인공의 일생을 통해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줄여준다.
2. 본 보고서의 목적
영화 <뷰티풀 마인드>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조현병을 앓고 있는 천재 수학자 존 내쉬의 일생을 다룬 영화이다. 영화는 망상, 환청, 환각, 환시 등을 경험하고 있는 존 내쉬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후반부에는 자신이 조현병을 앓고 있음을 인정하고 꾸준한 약물적 치료와 그의 아내, 대학 교수, 학부생 등의 노력으로 지역사회에 무사히 복귀한 존 내쉬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본 보고서를 통해 영화 <뷰티풀 마인드>를 분석, 영화 속에 나타난 존 내쉬의 조현병 증상과 그가 받은 치료를 분석하면서 조현병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조현병의 사회적인 편견과 부정적인 이미지를 줄이고자 한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조현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31&cid=51007&categoryId=51007
· 이경희 외. (2020). 정신건강간호학. JMK.
· 헬스조선. 유대형. (2020). 뇌의 질환 ‘조현병’... 꾸준한 치료로 일상생활 가능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9/07/2020090701574.html
· BBS뉴스. 이병철. (2020). 이홍준 원장 “조현병, 환자만의 문제가 아닌 온 가족의 문제”
·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147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