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성장과 체액량 변화
1. 체액 분포
total body water
1) I체CF: 2/3,K
2) ECF:
-3/1
-Na : 130~150
-탈수가 발생하는 주요 구획
2. 연령에 따른 체액량
-신생아: 체액의 50% 세포외액
-유아: 체액의 30%가 세포외액
3.체액소실 통로
1)대변, 소변, 구토
-ECF, 전체수분손실60%
2) 호흡과 땀
-불감성 수분손실
-전체수분손실의 40%
-기초대사율(체온)&체표면적
-1도씨증가할때마다 7ml/kg/24hr→수분요구량 12% 추가
3. 영유아에서 탈수 or 수분중독 발생 위험 요인
√높은 수분요구량
√높은 기초대사율
√체중에 비해 넓은 체표면적
√미숙한 신기능
-농축기능 저하
-노폐물의 축적
4. 수분중독
-혈중 Na 저하
-brain cell edema
-CNS증상
-과민증, 졸음, 두통, 구토, 설사, 발작
5. 부종
-Na 농도변화
-정수압 상승
-albumin 저하: 간에서분비, 교질삼투압 저하
6. 부종 증상
-전신적 또는 국소적
-복부둘레 변화
-요흔성 부종
chapter2. 위장장애 기능장애의 증상
1. 구토(vomiting)
-위속의 내용물이 입을 통해 불출되는 것으로 자기제한성 증상
etiology
- 급성전염성 질환, ICP상승, 독극물 섭취, allergy, 장폐색 등
√ 구토를 심하게 하게 되면? dehydration
electrolytes imbalance, metabolic alkalosis
치료
-진토제: ondanseteron(zofran), trimethobenzamide(tigan)
간호
-구토의 유형, 토물의 양상 사정
√projectile↑:
⓵ pyloric stenosis
⓶ ICP 상승
-흡인예방: lateral or head up position
-GI obstruction: NPO
-위식도 역류or본문괄약근에 문제가 있을 경우
⓵ 농도가 짙은 음식제공
⓶ 적은양을 2~3시간마다 수유
⓷ 수유후 or 식후 1시간동안 30도 head elevati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