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감염 미생물학
- 최초 등록일
- 2021.03.19
- 최종 저작일
- 2020.06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병원감염 미생물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의
2. 실태
3. 문제점
4. 관리 및 예방대책
5.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s(UTI)
6. 나의 생각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병원감염(Hospital acquired infection)이란, 입원당시에는 증상이 없었으며 감염증이 잠복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증이 입원 후 또는 퇴원 후 30일 이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수술환자의 경우 늦게 나타나기도 하며 입원, 외래 진료를 포함하여 의료기관 내에서 수행되는 의료 행위와 관련된 감염으로 환자뿐 만 아니라 병원근무자 등 관련 종사자들, 의료환경의 감염까지 포함한다.
이는 1968년 미국의 병원협회가 최초로 ‘병원내 감염관리’를 언급한 이후 1992년 미국 질병관리센터(CDC, Center for Disease Contrl and Prevention)에서 ‘일반적으로 입원 후 24~48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감염증 또는 병원에서 퇴원한 후에 감염을 일으키는 상태’로 정의하면서 통용되어지고 있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내인성 감염(endogenous infection)의 경우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으로서 건강한 사람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상주균의 과잉 성장 혹은 환자 자신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 저하로 면역체계가 약화되면서 발생하는 감염이다. 대표적인 임상적 예로는 의식불명 환자에게서의 흡인성 폐렴, 백혈병 및 항암치료 환자와 같은 호중구 감소 로 인해 식균작용이 감소하여 패혈증 감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외인성 감염(exogenous infection)의 경우 인체 외부에 있는 균이 들어와 생기는 감염으로서 의료인, 환자, 방문객, 오염된 의료기기, 병원내 환경 등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원인이 된다. 대표적인 임상적 예는 한 환자의 병균이 다른 환자에게 옮겨지는 교차감염 혹은 의료인의 손에 의한 감염으로 자신이 보균하고 있는 균이나 다른 환자 처치 시 접촉된 균이 주요 감염원이 될 수 있다.
참고 자료
2018년 국내 의료기관 종별 감염관리 기반 및 활동 현황 조사 결과(2019. 09.10. 질병관리본부)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18~‘22) (2018. 06. 보건복지부)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병원감염의 이해 (2004. 연세대 의대 감염내과 김준영)
병원감염의 현황과 대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김성대․손동완․김세웅․조용현)
Kim SW. Improving patient safety through prevention of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 J Korean Med Assoc. 2015;58(2):116-122.
Richard C, Emori TG, Edwards J, Fridkin S, Tolson J, Gaynes R.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and infection control professionals participating in the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ance System (NNIS) 1999. Am J Infect Cont 2001;29-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