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민문학의 창시자 '알렉산드르 푸시킨(푸쉬킨)'과 러시아 국민음악의 아버지 '미하일 글린카'의 주요 업적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두 인물의 공통점과 러시아 문화예술에 미친 영향을 비교와 대조의 맥락에서 분석합니다.
이 자료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김현택 교수의 4학년 전공과목인 러시아문화연구세미나 기말시험 대체 보고서로 작성되었습니다.
러시아 국민문학의 창시자 '알렉산드르 푸시킨(푸쉬킨)'과 러시아 국민음악의 아버지 '미하일 글린카'의 주요 업적에 관한 보고서입니다. 두 인물의 공통점과 러시아 문화예술에 미친 영향을 비교와 대조의 맥락에서 분석합니다.
이 자료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김현택 교수의 4학년 전공과목인 러시아문화연구세미나 기말시험 대체 보고서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러시아 문화예술사에서 ‘국민문학의 창시자’ 알렉산드르 푸시킨(Aleksandr Pushkin)과 ‘국민음악의 아버지’ 미하일 글린카(Mikhail Glinka)는 각각 러시아의 문학과 음악 분야에서 선구적 역할을 한 인물이다. 푸시킨과 글린카는 유럽의 진보적인 사상이 러시아에 전파되던 19세기 초중반에 활동한 문화예술인으로서 유년 시절부터 유럽식 교육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전통도 받아들였다.
푸시킨은 1799년 모스크바의 귀족 가문에서 출생했는데 리체이(lyceum)의 프랑스식 교육을 받아 프랑스어에 매우 능통하고 자유주의 사상을 일찍 받아들였다. 프랑스인 가정교사를 통해 유럽식 교육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푸시킨이 애정을 표현한 유모를 통해 러시아적 전통에도 자주 접촉했다. 러시아의 민담과 민요를 전해주는 유모는 민속에 대한 정보 제공자이자 문학의 원천적 장소로서, 푸시킨이 민중의 삶에 대해 깊이 동정하고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는 1812년 조국전쟁의 승리로 고무된 애국주의 사상과 민족적 자각이 고조되는 시기에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참고자료
· 니콜라스 르제프스키(2011), 「러시아 문화사 강의」, 그린비
· 보리스 고두노프 외(2011), 「푸슈킨 선집: 희곡·서사시 편」, 민음사
· 김수환(2014), 「“책에 따라 살기”: 유리 로뜨만의 문화유형론과 ‘러시아’라는 유령에 관하여」, 창작과 비평, 42(1), p. 358-378
· 이현우(2006), 「푸슈킨과 차아다예프, 그리고 제카브리스트」, 슬라브학보, 21(3), p. 213-23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