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혈액검사
2. 갑상선초음파검사/경부초음파검사
3. 미세침흡인세포검사
4. PET-CT 양성장 방출 단층촬영
5. 암종류에 따른 진단방법
6. 혈액 검사
7. 갑상선 초음파 검사
8. 미세침흡인세포검사
9. PET-CT양성장 방출 단층촬영
본문내용
‣혈액검사 – 갑상선 기능검사, 종양표지자 검사(TFT)
‣갑상선초음파검사/경부초음파검사 – 결절인지 낭성인지 또는 고형성인지 판별하기 위해 결절의 크기 측정을 위해, 또는 갑상선암 또는 결절의 경과를 관찰하는데 유용하다 갑상선암 치료 중 재발과 전이에 대한 감사로도 이용된다
‣미세침흡인세포검사 – 갑상선암을 진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갑상선 결절이 악성, 즉 암으로 의심되는 경우에 시행한다 근육주사를 놓거나 채혈을 할 때 쓰는 일반 주사기로 결절에서 세포를 빨아들여(흡인) 채취한 뒤 검사한다 조직검사에 비해 빠르고 안전하며, 가는 주사침을 쓰기 때문에 마취가 필요 없고 통증이 덜하며, 부작용도 거의 없다 검사비가 싸고 정확도도 90% 이상으로 매우 높다
‣ PET-CT 양성장 방출 단층촬영 – 세침검사에서 갑상선암 소견이 나와면 시행한다 신체의 대사활동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PET와 신체의 구조적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CT의 장점이 결합된 장비로 질병을 조기 진단하거나 전이 유무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