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이석증이란?
1) 특징
2) 원인
3) 진단
4) 종류
5) 치료방법
6)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7) 치료과정의 문제점
8) Q&A
본문내용
1. 감각의 종류와 성질
1) 감각의 종류와 특성
감각기관(sensory organ): 인체 내외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자극을 받아들여서 이것을 신경의 흥분으로 전환시키는 수용체(감수기, receptor)
① 특수감각(special sensation, 뇌척수신경을 거쳐서 전달되는 감각)
시각, 청각, 미각 후각, 평형감각
② 체성감각(somatic sensation, 뇌척수신경을 거쳐서 전달되는 감각)
표면감각(superficial sensation, 피부·점막감각): 촉각, 압각, 통각, 온각, 냉각
심부감각: 근육, 건, 관절
③ 내장감각(visceral sensation, 장기에서 자율신경계를 거쳐서 전달되는 감각)
공복, 목마름, 질식감, 충만감, 구역질, 내장 통각
2) 감각의 일반적 성질
(1) 높은 흥분성(high excitability)
구심성신경섬유보다 역치(문턱값, threshoid)가 낮아 감각이 가장 예민하다.
(2) 적합자극
- 적합자극(맞는자극, adequate stimulus): 각각 특정한 종류의 자극에만 예민하게 반응
예)눈은 광선, 귀는 음파
- 부적합자극(안 맞는 자극, inadequate stimulus): 자극 강도가 아주 커야 수용체를 흥분 시킴
예)주먹으로 눈을 자극하여 눈에서 빛이 번쩍하는 느낌이 나는 것
(3) 수용체전위(receptor potential)
감각수용체에 일어나는 자극이 주위에 생긴 국소전류에 의해서 생기는 전위
예)눈의 망막은 광선에너지를 전위로 변환
(4) 특수신경에너지의 법칙(law of specific nerve energies)
적합자극을 가했을 때 생기는 감각과 동일한 종류의 감각을 일으키는 것
예)눈을 얻어맞았을 때의 압박, 눈에 불이 번쩍하는 것과 같은 광선과 관련된 감각
(5) 순응(적응, adaptation)
일정한 강도의 감각자극이 지속될 때 주관적으로 느끼는 감각의 크기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점 사라지는 것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