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가정론 강의에서 건강가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제를 수행했습니다.
빈둥지 시기 부부를 대상으로 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해보았습니다.
A+ 받은 과제입니다~~
목차
1. 사업명 : 빈둥지시기 부부 교육 프로그램: 50년, 그리고 또 50년
2. 사업 필요성
3. 사업의 목적 및 목표
1) 목적
4. 사업개요
1) 추진계획
2) 추진일정
3) 진행 인력의 구성
4) 소요예산
5. 사업추진전략
1) 홍보방법
2) 기타 (진행상 유의점)
6. 기대효과
본문내용
1. 사업명 : 빈둥지시기 부부 교육 프로그램: 50년, 그리고 또 50년
2. 사업 필요성
대사회 자녀 모두가 독립하고 직장에서 은퇴해 부부만이 생활하는 중년기에서 노년기 사이의 시기에 역할상실, 무위, 우울, 무기력 등을 느끼는 빈둥지 증후군을 앓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 시기 중년기 부부는 노부모 부양과 성인이 되어가는 자녀에 대한 책임이라는 이중부담을 갖게 되며 중년의 심리적 위기로 인해 결혼만족도의 저하를 경험하기도 한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 의하면, 중년기는 ‘생산성 대 침체’,노년기는 ‘자아통합 대 절망감’의 시기로 빈둥지 시기는 중년기와 노년기 사이에 해당해 이 시기를 잘 보내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빈둥지 증후군과 같은 우울증이 인류를 괴롭힐 세계 2위의질병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정원임,2013), 빈둥지 시기에 대한 경험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고 관심도 적은 것이 현실이다. 통계청이 실시한 인구동향조사에서 혼인지속기간별 이혼 구성비 추이를 보았을 때, 1999년에는 혼인 초기(0-4년)에 이혼하는 비율이 29.2%였으나, 10년 후인 2019년에는 혼인지속기간 20년 이상 이혼 부부의 비율이 3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20년 이상 결혼을 지속한 중년기 결혼만족도가 낮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참고자료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윤운하 외, 「중년기 부부의 장기결혼(long-term mariage)유지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결혼만족도가 높은 부부를 중심으로(2018)」
·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정원임, 「중년여성의 빈둥지증후군 극복을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2013)」
· 고려대학교, 김정주, 『한국교육학연구』, 「중년여성의 빈둥지시기 경험 탐색과 평생교육학적 제안(2018)」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2019 혼인 이혼 통계, ‘혼인지속기간별 이혼 구성비 추이
· 윤경자 외 5, 공동체, 『건강가정론』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20 배분사업 안내』
· 여성가족부, 『2020년도 가족사업안내 지침』
· 윈애드커뮤니케이션즈, htps:/winad.co.kr/
· 현수막 19, htp:/baner19.com
·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안내, 프로그램 목록,
· htps:/familynet.or.kr/web/lay1/program/S295T32C324/receipt/view.do?seq=10438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