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산과 염기의 정의
산과 염기의 분류 기준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랐다. 현재까지는 아레니우스의 정의,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루이스의 정의 등이 있다.
1) 아레니우스의 정의
-산: 수용액에서 수소이온(H+)을 내놓을 수 있는 물질
-염기: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OH-)을 내놓을 수 있는 물질
-아레니우스 정의의 한계: 수용액이 아닌 곳에서 일어나는 산, 염기반응을 설명할 수 없고, 몇몇 반응에만 한정될 뿐 전체적으로 완벽하게 정의하지는 못한다.
ex) NH3(암모니아)는 수용액에서 염기성을 나타내지만 OH-를 생성하지 못한다.
2)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산(양성자 주개): 양성자(H+)를 내놓는 물질(분자나 이온)
-염기(양성자 받개): 양성자(H+)를 받아들이는 물질(분자나 이온)
-짝산과 짝염기: H+의 이동에 의해 산과 염기로 되는 한 쌍의 물질
(짝산⇄짝염기+H+)→ex: HCL의 짝염기는 Cl-, Cl-의 짝산은 HCl.
-양쪽성 물질: 경우에 따라 염기로도 작용하고 산으로도 작용하는 물질
-산과 염기의 상대적 세기: 강산인 HCl은 이온화 상수 값이 매우 크기 때문에 물에 녹으면 거의 100% 이온화된다.
HCl + H2O ⇄ H3O+ + Cl-(Ka: 매우 크다)
이 반응은 Ka가 매우 크므로 평형은 정반응 쪽으로 치우쳐 산의 세 기는 HCl>H3O+이고, 염기의 세기는 H2O>Cl-이다. 모든 산염기 반응 은 항상 약산과 약염기가 생성되는 쪽으로 반응이 진행된다. 이 반 응에서 강산 HCl의 짝염기 Cl-는 약염기가 되고, 약산 H3O+의 짝염 기 H2O는 강염기가 된다.
참고자료
· 하이탑 화학 Ⅰ2권, 두산동아, 심국석 외, 2011, p.252~255(산염기의 정의), p.236~237(pH: 수소 이온 농도 지수)
· 하이탑 화학 Ⅱ2권, 두산동아, 김봉래, 2012, p.97~98(산염기-브뢴스테드로우리)
· 줌달의 일반화학, 사이플러스, 화학교재 연구회, 2014, p.172~173 (적정), p.170~176(당량점과 중화점)
· 표준 일반화학 실험, 천문각, 대한화학회, 2005, p.110~113
·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화학용어사전편찬회(윤창주), 2003(reagent , 역적정)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