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약물의 정의
약물을 WHO에서는 사용하는 사람의 이익을 위해서 생리 시스템 또는 질병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감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물질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물은 인수에게 발생하는 병이나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모든 물질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의약품은 가능한 최대한 개선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Ⅱ. 약물의 제형
● 정제 (tablet) : 분말을 압축시켜서 삼키기 좋은 형태로 만든 것으로, 정제는 다른 고형제제보다 위에서 빠르게 분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캡슐제 (capsules) : 분말이나 액상 제제를 감싸 코팅한 것으로 위액에 쉽게 파괴되는 약물들이 주로 캡슐제제로 판매됩니다.
● 액상제제 : 물약 타입과 시럽 타입이 있는데 주로 시럽은 약물의 맛 때문에 삼키기 어려운 아이들에게 주로 사용되며, 물약 타입은 약물을 액상제제로 만들어 쉽게 삼킬 수 있도록 만든 제제입니다.
● 서방형 제제 : 서서히 방출한다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서서히 나오기 때문에 단회용량보다 2,3배 높은 함량을 포함하고 있어서 장시간 약효를 낼 수 있습니다.
● 고형제제 :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제제로 질좌약과 항문좌약 등이 있습니다. 좌약은 체온으로 녹는 물질과 혼합되어 있어 삽입 시 체온에 의해 녹아 약효를 발휘합니다.
● 연고 :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지용성 약물로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만들어 진 제제입니다.
● 비경구 주사 : 경구로 넘기기 어려운 환자나 긴급상황 시 주로 사용합니다. 주사 바늘을 이용해 체내로 흡수시키는데 각각 피내, 피하, 근육, 정맥 주사등이 있습니다.
바늘의 위치를 어디까지 넣느냐에 따라 흡수 시간도 상이하며 약물 발현 시간 또한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정맥의 경우, 혈관으로 바로 주입하기에 그 자체로 흡수라고 볼 수 있으며 약물의 발현 시간은 주입 그 즉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맥 주사는 한 번 투여 되면 되돌릴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신인철 외, 2018, 알기쉬운 약리학, 메디컬사이언스
· Shalini S. Lynch, PharmD,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Pharmacy, 2017, Overview of Over-the-Counter Drugs
· http://www.huniz.kr/, 휴먼스메디케어
·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삼성서울병원 약제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