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적용
Ⅲ. 실습 및 케이스하면서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1) 조현병(schizophrenia. SPR)의 정의
조현병(schizophrenia. SPR)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인 schizo(분열)와 phren(마음)이 합쳐진 용어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정신분열증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다가 2011년 10월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위해 조현병으로 개정된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조현병 대상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는데, 병으로 인한 부조화를 치료를 통해 조화롭게 하면 현악기가 좋은 소리를 내듯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조현병은 전두엽, 측두엽 등 연합피질과 변연계, 피질하구조 등이 관여하는 신경망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생물학적 뇌질환으로 인정되어 가고 있지만 발병과 진행경과에 심리적, 사회적 요인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현병은 개인이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뇌질환으로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화 등의 장애를 동반한다. 이러한 증후군들은 대개 이해하기 어렵고 증상이 심하기 때문에 대상자들은 당황하게 되고 대인관계를 잘 유지하지 못하며 심한 무능력 상태가 되어 사회로부터 소원해지고 고립된다.
2) 조현병(schizophrenia. SPR)의 원인
현재까지 밝혀진 조현병의 원인은 어느 한 가지 원인이 아닌 여러 요인, 크게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 생물학적 요인
ⅰ. 유전적 요인
대상자 친족들 간의 이환율 조사, 쌍생아 연구 등을 진행한 결과, 대상자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유병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일반인의 조현병 이환위험률은 1%인데 반해 형제, 자매간에는 8%의 이환위험률을 보였으며, 부모 중 한 사람이 조현병일 경우 그 자녀들은 12%의 이환위험률을 보임
참고 자료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김희숙, 강문희, 김미자, 김영숙, 김판희, 김효정 외 공저. 2019. 02. 학지사메디컬.
정신건강간호학 각론. 김희숙, 강문희, 김미자, 김영숙, 김판희, 김효정 외 공저. 2019. 02. 학지사메디컬.
기본간호학1 제 3판,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이정인, 김영주 외 공저, 2018. 2. 현문사.
기본간호학2 제 3판,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이정인, 김영주 외 공저, 2018. 2. 현문사.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김수경, 권지윤 외 공역. 2015. 12. 정담미디어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성미혜, 강정희, 김경희, 손정태, 오혜경 외 공저. 2017. 03. JMK.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cdc.go.kr/healthinfo/index.js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https://www.snuh.org/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