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실험 이론
1) 빛의 속력
2) Maxwell’s equations에 의한 빛의 속력
3) 측정방법과 역사
3. 실험 장치
4. 실험방법
5. 측정값
6. 실험 결과
7. 결과에 대한 논의
8. 결 론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공기 중 빛의 속도를 변조 방법(modulation method)으로 측정하고, 투명 고체 매질 안에서 빛의 속도를 측정하여 굴절률을 구해본다.
2. 실험 원리
1) 빛의 속력
빛의 속력은 진공에서 299,792,458m/s라는 정확한 값이며, 국제적으로 c라고 표기한다. 빛의 속력은 기본 물리 상수로, 길이 단위인 미터는 이것으로부터 정의되었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c는 우주의 모든 에너지, 물질, 정보가 가질 수 있는 속도의 최댓값이며, 최근 이론에 따르면 중력파의 속력이기도 하다. 질량이 없는 입자와 장은 c로 진행하며, 관성계에서는 관찰자의 속도와 관계없이 입자와 파동은 c로 진행한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c는 시간과 공간을 연관시키며, 질량-에너지 등식 E=mc²에도 등장한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모든 움직임, 즉 물질의 이동 속도는 물론, 질량을 가진 게이지 보손도 빛의 속력보다 더 빨리 움직일 수 없다. 오직 불변 질량이 0인 물체(예를 들면 광자)만이 빛의 속력으로 전파될 수 있다.
2) Maxwell’s equations에 의한 빛의 속력
맥스웰의 이론에 의하면 빛의 속력은 c= 1/√(ε_(〖0) μ_0 ) ) 이다. 여기서 ε_0과 μ_0은 각각 진공의 유전율과 투자율이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유전율 ε_0= 10^7 \/4πc^2 (in A^((2)s^4 kg^(-1) m^(-3) ) or Fm^(-1))
투자율 μ_0= 4π×10^(-7) (in kgms^((A^(-2))) or NA^(-2))
이는 움직이거나 정지한 관측자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 같은 사실에서 특수 상대론이 출현했다.
3) 측정방법과 역사
최초로 빛의 속력을 측정한 뢰머
덴마크의 천문학자 뢰머(Ole Roemer, 1644-1710)는 최초로 빛의 속력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한 사람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