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목적
이번 실험에서는 신경전달물질 등의 화학적 메신저에 의한 신체의 조절현상과 온도 조건, 약물에 의한 심장박동수의 변화를 물벼룩을 대상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2. 실험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물벼룩, 홀 슬라이드글라스, 카운터기, 일회용 스포이드, 광학현미경(x40), 0.01%아세틸콜린, 0.01% 에피네프린, 0.01% 니코틴, 일반 커피(카페인), 디카페인 커피
<실험방법>
- 온도
1. 물벼룩을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약간의 액체배지와 함께 홀 슬라이드글라스 에 옮긴다. (3 set 를 준비)
2. 광학현미경 (X40)을 이용해 물벼룩의 심장의 위치를 확인한다.
3. 각각의 물벼룩을 15초 동안 카운터기를 이용하여 심장박동수를 측정한다. (15초-> 1분 환산)
4. 물벼룩이 들어있던 튜브의 액체배지를 슬라이드글라스 위의 물벼룩에게 한 방울씩 떨어뜨린 후 각각 4℃(또는 얼음물 이용), 실온, 37℃ 조건에 3~5분간 방치한다.
5. 물벼룩의 심장 박동수를 다시 측정하여 실험 전 심장박동수와 비교한다.
- 호르몬, 화학물질
1. 각각의 온도조건 실험에 사용한 물벼룩을 실온에서 5분 이상 방치하여 심장박동수를 회복되도록 한다. (물벼룩 재사용)
2. 새로운 물벼룩 2마리를 각각의 홀 슬라이드글라스에 옮겨, 심장박동수를 회복한 3마리를 포함하여 총 5 set 의 물벼룩을 준비한다.
(새로운 물벼룩 2마리는 초기 심장박동 수를 다시 측정해야 한다.)
3. 각각의 물벼룩에 0.01% 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 니코틴, 커피 2종류를 한 방울씩 떨어뜨린 후 3분간 상온에서 방치한다.
4. 물벼룩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여 초기 심장박동 수와 비교한다.
3. 실험이론
<물벼룩>
물벼룩은 물벼룩과에 속하는 생물이다. 민물에 사는 아주 작은 갑각류이며 몸길이는 0.2 ~ 1.8mm이다. 머리는 너비가 넓고 반원 모양으로 등쪽에 붙어 있고 갑각은 배쪽에 붙어 있으며, 두 장의 껍질은 대개 반투명하다. 배 뒷부분에는 양쪽에 12 ~ 18개의 가시가 있다.
참고자료
· 위키피디아, 물벼룩, https://ko.wikipedia.org/wiki/%EB%AC%BC%EB%B2%BC%EB%A3%A9
· 위키피디아, 카페인,
·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D%8E%98%EC%9D%B8
· 위키피디아, 니코틴,
· https://ko.wikipedia.org/wiki/%EB%8B%88%EC%BD%94%ED%8B%B4
· Lisa A. Urry외 5명, 2017,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 2판, 바이오사이언스 출판, p. 678, 79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