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론
- 최초 등록일
- 2021.02.27
- 최종 저작일
- 2020.06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의사소통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사소통의 개념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3. 의사소통의 형태
4.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5.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술
6. 비치료적 의사소통 사례를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로 재구성하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의사소통의 개념
- 두 사람 이상의 사람들 간에 언어나 다른 방법으로 그들의 의사, 정보, 감정, 태도, 신념을 전달하고 반응하면서 상 호간에 의미를 공유하는 과정.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1) 송신자 : 생각, 감정, 정보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
2) 메시지 : 손신자의 목적이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표현되는 내용
3) 전달매체 :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
4) 수용자 : 메시지를 전달받는 사람
5) 피드백 : 수용자의 반응
3. 의사소통의 형태
1) 언어적 의사소통 : 사람이 말하는 모든 언어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말, 글, 기록)
2) 비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보여주는 의사소통
(얼굴표정, 제스처, 자세, 외모, 음성의 고저, 크기, 속도, 질, 억양 등)
4.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경청
·상대방에게 관심을 집중시키고 열심히 듣는 능동적인 과정.
·온화한 시선, 좋은 자세, 상냥한 얼굴표정 및 음색, 즉각적인 반응 등은 경청하고 있음을 전달.
침묵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느낌, 생각, 결정 등을 심사숙고할 시간을 줌으로써 충분히 고려하여 이야기하도록 격려하는 기술.
수용
·대상자의 표현을 비평하지 않고 그의 입장에서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
⇒ 상대방 이야기에 대한 사실여부는 인정할 수 없으나 감정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기술.
공감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느낌을 이해하고 그대로 인정하는 것.
⇒ 상대방 이야기의 사실여부와 감정을 모두 인정하는 것.
참고 자료
양경희 외, 『의사소통기술』, 퍼시픽북스(2019)
유혜정, 『정신건강간호학』, 에듀팩토리(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