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은 1590년 얀센에 의해 처음으로 발명 되었으며 현미경의 발전과 함께 생물학도 같이 발전해 왔다.(Son and Bae, 2009)
현미경은 광학, 해부, 전자 현미경 등 다양한 종류의 현미경이 있으며 그 중 이번실험에 사용할 현미경인 광학 현미경은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하며 빛이 통과될 수 있는 얇은 생물들을 관찰한다.(Son and Bae, 2009)
현미경의 사용방법은 우선 나사를 돌려 접안렌즈를 몸 쪽으로 돌려 고정 시킨 후 재물대에 준비된 프레파라트를 놓고 고정시킨다.
관찰 할 부분을 중앙에 맞추어 놓고 램프를 켜 광원을 제공해주며 조동나사를 돌려 프레파라트가 렌즈에 닿지 않을 정도 까지 최대한 올려준다.
그 후 조동나사를 돌려 재물대를 내려주면서 대략적인 상을 찾아주며 미동나사로 정확한 상을 잡고 더 크게 관찰 할 땐 대물렌즈를 고배율로 돌려 관찰하며 대물렌즈를 직접 만지지 말고 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절해야 한다.
참고자료
· 생물학보고서, p42-p49
· Shin, Y. J., S. H. Kim, B. S. Yoo, S. Y. Hwang, W. S. Kim, G. J. Lee and I. G. Park. 2003. 고급생물. 교육과학기술부, p9
· Son, H. D. and M. J. Bae. 2009. HIGHTOP 생물Ⅱ. 두산동아, p12-p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