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각장애의 정의
2. 소리의 본질 & 특성
3. 출현율 & 청각장애 유형과 원인
4. 판별과 사정
5. 공학기술과 지원
6. 교육접근
7. 대안적교육배치
본문내용
* 청각장애의 정의
난청 아동이나 농 아동은 연방법으로 정해진 청각장애 분류에 따라서 특수교육과 관련 서비스를 받는다.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은 다음과 같이 농(deafness)과 난청(hearing loss)에 대해서 정의하고 있다.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농과 난청을 구분한다. 농아동은 청력을 활용하여 말소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심지어 보청기 착용하여도 청력손실이 너무 커서 청력만으로는 구어를 이해할 수 없다. 대부분의 청각장애 사람들은 잔조청력(residual hearing)을 통하여 어느 정도 소리를 느낄 수 있지만, 학습과 의사소통에서는 시각을 주요 감각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난청아동은 말소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보청기의 도움을 받아 잔존청력을 사용할 수 있다. 난청아동의 말과 언어기술이 비록 지체되거나 결여되기는 해도 주로 청각통로를 통해서 발달한다.
우리는 어떻게 듣나 청취(audition), 즉 듣기 감각은 복잡한 과정이고 그만큼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귀의 기능은 외부환경으로 부터 소리 (음향에너지)를 모아서 그 에너지를 우리 뇌가 해석할 수 있는 형태 (신경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귀의 부분인 이개(auricle or pinna)는 와이도 (auditory canal or external acoustic meatus)에 음파들을 모으고 소리의 방향을 구분 짓게 하는 기능을 한다. 와이에 들어온 음파는 고막(tympanic membrane)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약간 증폭된다. 내이는 청각의 주 수용기관인 달팽이관(cohlea)과 평형감각을 통제하는 반규관(semicircular canals)을 포함한다. 유모세포들은 위쪽에 섬모(cilia)라고 불리는 100여 개의 작은 가시털 pine)을 가지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