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치료목표와 치료방법
1) 치료목표
2) 치료의 특징
3) 4단계 사정 과정
4) 구조적 가족치료사의 역할
본문내용
1. 주요 특징과 가족구조
“ 구조적 가족상담은 역기능적인 가족 구조를 변화시켜 문제를 해결한다. ”
1)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Therapy)
①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내 복잡한 상호교류와 질서에 의미를 부여하는 틀을 제공한다.
② 가족구조를 형성하는 정서적 경계선과 연합은 추상적인 개념이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③ 구조적 가족치료는 이러한 원리에 상호작용을 유지시키고 지지해주는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인식을 추가 하여 가족관계를 설명한다.
④ 개인의 심리적 증상이나 문제는 가족의 구조적 병리에 의해서 생겨난 부산물이다. 따라서 개인의 증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⑤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세가지 개념은 가족구조, 하위체계, 경계선이다.
2) 주요 개념
(1) 가족구조(family structure)
① 구조적 가족상담에서 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 구조를 파악하는 일이다.
② 가족구조란 가족 구성원이 서로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암묵적 규칙과 요구를 의미한다.
③ 가족구조는 가족이 하위체계로 조직되어있는 방식을 말하며 이러한 하위체계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은 경계선에 의해 조절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