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다발성 외상의 정의
3. 초기 대응
4. EARLY TOTAL CARE AND DAMAGE CONTROL
5. ORTHOPEDICS
6. 다발성 외상 환자의 생리학적 변화에 대한 이해
7. 환자의 상태에 따른 치료 방향의 결정
8. 결론
9. REFERENCES
본문내용
서론
• 2015년 한국 사망원인 중 10.4%가 외인에 의한 사망
• 다발성 외상환자의 경우 신체 여러부위손상으로 인한 전신의 염증반응 및 다발장기부전으로 사망에 이름.
• 응급실 내원부터 적절하고 체계적인 치료를 시작하고 다양한 분과 간의 협조를 통해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다발성 외상의 정의
• 다발성 외상(polytrauma)은 Injury Severity Score (ISS)가 15점보다 크고
• Abbreviated Injury Scale (AIS)이 최소 두 구역 에서 3점 이상이면서 다섯가지 병적 상태 중 최소 한 가지 이상을 갖는 경우
초기대응
• 환자발생 단계부터 병원까지의 빠른후송이 중요
• 환자 내원시 ATLS지침에 따라 환자 상태 파악 Airway-Breathing-Circulation-Disability-Exposure
• 두개의 정맥로 확보, Crystalloid(정질액)
• “Head to toe”병력청취, 신체검사
• 영상검사, 진단검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