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간베스트(축약어 : 일베, www.ilbe.com)’를 통해서 여성혐오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일베’의 사용자들은 이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용자들이 스스로를 인터넷 상에서 인증한 상황을 통해 추론해 보건데 고학력자들뿐만 아니라, 고소득층, 심지어 중•고등학생 또한 다수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베의 이용자들은 특정 인물에 대한 비난뿐만 아니라 여성에 대해서 강한 공격성과 혐오에 가까운 행동을 보이며, 이에 대한 토론은 원천적으로 저지하는 현상을 보인다. 2015년 ‘여성시대’라는 다음카페에서 분화된 ‘메갈리안’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는 ‘일베’와 남성의 여성혐오에 대한 혐오라는 ‘미러링(mirroring)’ 제창하며 등장하였고, 두 커뮤니티간의 갈등과 불화는 이성에 대한 혐오에 대한 논쟁을 점화시켰다. 어째서 이전의 사회에 비해서 여성의 권익이 신장한 현대 한국 사회에서 여성혐오가 이렇게 공공연하게 발생하게 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거 여성혐오가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어떠한 형식으로 발생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게 여겨진다. 비록, ‘일베’라는 온라인 커뮤니티는 여성에 대한 혐오뿐 아니라, 장애인•사회적 약자 모두에 대하여 혐오성을 보이기는 하나, 이 글에서는 여성의 성과 연관시켜서 여성 혐오에 대한 것만 특정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참고자료
· 우에노 치즈코 (2012).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 엄진 (2015).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한윤형 (2013). 왜 한국 남성은 한국여성들에게 분노하는가. 문화과학, p185-201. 2013.
· 강선미 (2011). 사랑이라는 이름의 궤변. 중세르네상스 영문학, 19(2), 115-138
· 고석기 (2001). 셰익스피어의 여성혐오 : 『햄릿』에 나타난 여성의 몸과 모성의 힘. Shakespeare Review, 37(1), 5-3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