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황달 케이스 입니다! (진단3, 과정2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신체손상의 위험)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고찰
2. 본론
1) 자료수집 양식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 대상자 사정
(3) Chart review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신생아 황달은 일반적이고 만삭아의 60%, 미숙사의 80%에서 관찰되는데,(이선자, 1987) 신생아에서는 생후 수일동안 태아적혈구의 파괴가 증가되기 때문에 빌리루빈 생산이 증가되며, 간기능이 미숙하여 간접 빌리루빈은 bilirubin glucuronide로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간의 효소가 불충분하거나 또는 다른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황달이 나타난다(홍창의,1981).
생리적 황달이란 만삭아의 경후 생후 2~3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생후 4~5일 째에 최고에 달했다가 생후 7~14일에 없어지는 생리적 현상으로서, 혈청 빌리루빈 최고 농도가 12mg/dl이하이며, 미숙아에 있어서는 만삭아에 비해 황달의 출현이 더 늦고 지속시간이 더 오래가서 생후 3~4일에 시작하여 생후 4~7일째 최고에 달했다가 생후 7~9일째에 쇠퇴하며 혈청 빌리루빈치가 15mg/dl이하인 경우이다(NELSON, 1979).
그러나 혈청 빌리루빈의 상승으로 인한 고빌리루빈 혈증의 주된 위험은 신생아의 뇌조직이 손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혈청 빌리루빈의 농도가 20mg/dl이상인 경우 지용성 간접 빌리루빈이 뇌세포에 침착되어 핵황달(kernicterus)을 초래할 수 있으며, 핵황달ㅇ 의한 뇌세포의 손상기전은 자세히 밝혀있지 않지만, 알부민 부족으로 알부민과 결합되지 않은 지용성. 간접 빌리루빈이 쉽게 Blood Brain Barrier를 통과하여 빌리루빈이 뇌세포에 착색되고, 뇌세포의 산소대사 장애를 주기 때문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이러한 핵황달의 예후는 치명적인 것으로서 대부분이 뇌성마비가 되거나 혹은 사망하기 때문에 이의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신생아황달은 신생아기 이후의 아이들이나 어른들의 황달과는 다른 점이 많으므로 구분하여 치료해야한다. 신생아 황달은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으로 그중 대상자를 선정하여 2주의 실습기간을 통하여 신생아 황달의 이론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질병의 병태생리를 알아보고 대상자의 임상증상을 사정
참고 자료
장주연 외 4인(2018), 2019 KNLE POWER 간호사국가고시핵심요약집_아동간호학, 군자출판사(주), PP 98-109, pp141-143.
김영혜 외 14 편역(2017),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pp360-362.
신정숙B 외 8인(1993), 신생아 황달의 광선요법 투여시간과 빌리루빈 하강정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KIMS 의약정보센터. 약물이미지, 약리작용, 금기, 약물부작용. vit k, 유박스비 주, 옵큐라신.
권원경 외 15인(1995),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40-41.
신생아황달 [neonatal jaundice]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